에포크타임스

中 승용차 10월 판매 0.8% 감소…‘보조금 효과’ 사라지며 시장 급랭

2025년 11월 11일 오후 8:21
중국 충칭의 한 자동차 유통센터에 주차된 차량들. 2024.3.24 | STR/AFP via Getty Images중국 충칭의 한 자동차 유통센터에 주차된 차량들. 2024.3.24 | STR/AFP via Getty Images

자동차협회, 6% 증가 예상했지만 실제 집계하니 오히려 마이너스
“수요 아닌 정책에 의존한 시장구조…대규모 조정 불가피”

중국 승용차 시장이 10월 들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정부의 ‘노후차 교체 보조금’ 정책이 잇따라 축소되면서 소비 회복세가 꺾인 데다, 청년층의 구매 수요가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중국자동차유통협회 산하 민간통계분석기구인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승련회)가 1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승용차 소매 판매량은 약 224만 2천 대로 전년 동월 대비 0.8% 감소했다. 전월 대비로는 0.1% 줄며 8개월 연속 이어온 성장세가 멈췄다.

이는 승련회가 예비통계에서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6% 증가한 238만 7천 대로 예상했던 것과는 큰 격차다. 오히려 소폭 감소라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자동차유통협회 관계자는 “10월 시장 흐름은 비교적 완만했으며, 기대했던 ‘뜨거운 소비 회복’은 나타나지 않았다”며 “특히 젊은 세대가 자동차 구매에 흥미를 보이지 않아 첫 구매자 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시장을 떠받치는 건 교체 수요층이 중심”이라고 덧붙였다.

10월 한 달 동안 증강형 전기차(ER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의 판매는 각각 7.7%, 10.3% 급감했다. 내연기관차는 전년 대비 10% 줄었고, 전월 대비로도 1.3% 감소했다.

이 관계자는 “제조사에서 딜러에게 보내는 도매 판매량은 예상을 웃돌았지만, 소매 판매는 증가하지 않았다”며 재고가 쌓이고 있음을 시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중국 31개 성·시·자치주 가운데 20여 곳에서 노후 차량 교체 보조금 제도를 일시 중단하거나 지원 규모를 축소했다. 재정 적자로 인한 부채 상환 부담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중앙정부는 오는 2028년까지 10조 위안(약 2042조원)의 정부 채권을 발행해 지방정부의 숨겨진 부채를 대체하고 만기 연장 등 부채 상환 부담을 낮추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보조금은 중국의 자동차 시장의 수요를 지탱해 왔다. 중국 재정부는 작년부터 올해까지 신에너지차(NEV)에 대해 최대 3만 위안(약 550만 원)까지 차량 구매세를 면제했으나, 내녀부터는 면제 한도를 절반으로 줄이기로 했다. 당국은 최근 공고를 통해 “2026년 1월 1일부터는 신에너지차에 대해 전액 면세 대신 절반 감세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업계는 이번 조치가 이미 부진한 시장 분위기에 추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 거주 중인 경제학자 데이비 웡은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정부 보조금으로 인해 실제 수요와 동떨어져 돌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 정부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각종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남발하고 있으며, 지방정부들도 경기 부양과 세수 확보를 위해 생산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자동차 기업들이 실제 수요가 아닌 정부 지침에 따라 움직이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중국 자동차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공급 과잉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부동산·태양광 산업처럼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대만대 경제학과 판자충 교수는 “내수 침체 속에서 자동차 산업이 과잉 경쟁으로 인한 버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시장 전반의 대규모 조정과 도산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