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여한구 통상본부장, 방미…“관세 협상 총력전, 국익 극대화 집중”

2025년 07월 22일 오후 1:57
미국 향하는 이재명 정부 첫 한미 통상협의 대표단
/ 연합뉴스 미국 향하는 이재명 정부 첫 한미 통상협의 대표단 / 연합뉴스

8월 1일 관세 시한 앞두고 고위급 협상…자동차·철강 등 현안 집중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으로 포지티브 협상 유도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2+2 고위급 통상협의’ 참석을 위해 22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했다. 이는 여 본부장 취임 후 세 번째 미국 방문으로, 최근 고조되고 있는 관세 갈등 속에서 한국의 민감 사안을 최대한 반영하고 실리를 확보하기 위한 총력 외교에 나선 것이다.

이번 협의는 한국 측에서 여한구 본부장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각각 참석한다. 한미 양국의 재무·통상 수장이 함께하는 ‘2+2 형식’의 고위급 협상은, 미국이 예고한 25% 상호관세 부과를 둘러싼 갈등 해소를 목표로 한다.

정부는 자동차와 철강 등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 완화, 디지털세와 농축산물 규제, 비관세 장벽 등 다양한 통상 현안을 종합적으로 다룰 방침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8월 1일 상호관세 시한을 앞두고, 실리를 우선시하는 외교 전략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특히 이번 협의를 통해 ‘선(先) 관세 완화, 후(後) 투자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강조하고 있다. 산업부는 국내 기업들의 대미 투자 계획 및 구매 확대 의지를 기반으로, 미국 측에 실질적 이익을 제시하며 관세 완화 명분을 강화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통상 당국은 이를 통해 단기 갈등 해소를 넘어, 한미 공급망 협력 강화 및 제조업 공동 번영 모델 구축을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여 본부장은 미국 측에 제안한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관세 인하가 단순한 양보가 아닌 상호 투자의 확대와 공급망 안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그는 “관세 인하가 대미 투자 확대와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로 이어지는 포지티브 섬(positive-sum)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한미가 ‘윈윈’할 수 있는 건설적 통상 해법을 모색하고, 장기적인 협력 구조를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