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EU, 전략품목 무관세·자동차 15% 관세 합의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전략 품목에 대한 상호 무관세 적용과 EU산 제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무역협정을 전격 타결했다. 양측은 관세전쟁 확전을 일단 피하며 기존 고율 관세 체제를 일부 완화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회동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무역협정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협상 시한 종료를 닷새 앞둔 전격적인 ‘톱다운 합의’다.
이번 협정에 따라 EU는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대폭 확대하는 대신, 미국은 EU산 항공기·반도체 장비 등 전략 품목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다만 대부분의 EU산 제품에는 15%의 관세가 일괄 적용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산 자동차에도 15%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며 “이는 현재 27.5%에 달하는 관세에서 크게 낮아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에는 기본 2.5% 관세에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25% 품목관세가 더해졌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품목에 15%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며 “이것이 양측이 설정한 관세의 상한선”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은 제외됐다”고 주장해 해석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향후 3년간 총 7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고, 6000억 달러의 추가 투자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그는 “EU가 막대한 규모의 미국산 군사장비도 구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EU 측은 구체적인 투자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양측은 일부 전략 품목에 대해 상호 무관세에 합의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항공기와 부품, 특정 화학제품, 복제약, 반도체 장비, 일부 농산물과 천연자원, 핵심 원자재 등이 대상”이라며 “향후 품목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국이 여전히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50% 고율 관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EU는 이번 협정을 통해 자동차 등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고관세 위협에서 한 발 벗어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EU는 평균 4.8%의 기존 관세 외에 미국의 기본관세 10%도 부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번 합의로 추가 관세 폭탄은 피하게 됐다.
다만 EU는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15%를 협상의 하한선으로 못박으면서 ‘차선’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양측 모두 보복관세를 예고한 만큼, 이번 합의는 당분간 대서양 무역전쟁의 확산을 막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