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준비 시동…‘공정한 컷오프’ vs ‘이기는 경선’

민주당, 부적격자 배제·당원 투표 비중 확대
국민의힘, 전략공천 최소화·오픈프라이머리
추석 연휴를 마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민주당은 ‘공정한 공천’을 내세워 부적격자 배제와 당원 중심 룰을 강화하고, 국민의힘은 ‘이기는 공천’을 목표로 경선 중심의 개방형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민주당은 컷오프 최소화를 원칙으로 하되, 부적격 후보는 예외 없이 배제하는 기준을 마련 중이다. 기존의 밀실식 공천 논란을 피하고, 모든 후보에게 동등한 경선 기회를 부여하겠다는 구상이다.
내부에서는 당원 투표 비중 확대와 여론조사 병행도 논의 중이며, 서울·부산 등 주요 광역단체장 선거는 국민 여론조사를 일정 비율 반영해 민심과 당심을 함께 고려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최근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을 조기 출범시키고 전략기획·정책·선거지원 3개 분과 체제로 가동에 들어갔다. 전국 시도당위원장 간담회를 열고 공천 기준 조기 확정을 추진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공천 기조는 현역 포함 경선 원칙, 전략공천 최소화다. 서울·부산 등 주요 격전지에서도 가능한 한 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해 ‘컨벤션 효과’를 극대화하고 경쟁력 있는 인물을 부각하겠다는 전략이다.
경선 확대와 함께 완전 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여부도 논의 중이다. 일반 국민의 참여를 확대해 공천의 투명성을 높이고, 당 외연을 넓히는 효과를 노린다. 다만 내부에서는 경선 과열과 계파 갈등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후보 평가 기준에 ‘당성(黨性)’ 항목을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나경원 지방선거총괄기획단 위원장은 “훌륭한 인재가 구름처럼 모일 수 있는 공천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다만 양당 공천 기준은 명분과 전략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한계를 안고 있다.
국민의힘은 경선 확대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으로 경쟁력 있는 후보 발굴을 강조하지만, 경선 과열과 계파 갈등, 당성 평가 기준 모호성 등 내부 갈등 요소가 존재한다.
민주당은 부적격자 배제와 당원 중심 투표 확대에 집중하지만, 컷오프 최소화 원칙과 여론조사 반영 등 복합적 기준이 경선 과정에서 혼선과 논란을 낳을 가능성이 있다. 결국 양당 모두 공천 시스템의 명분과 실제 운영 사이에서 갈등 관리와 신뢰 확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양당은 지방선거를 단순한 지역 단위 경쟁이 아닌 정권 안정과 견제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국민의힘은 경선 경쟁을 통해 조직력을 다지고, 민주당은 공정성을 앞세워 내부 통합과 신뢰 회복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은 ‘공정한 공천’을, 국민의힘은 ‘이기는 공천’을 내세우고 있지만, 결국 공천 갈등을 얼마나 최소화하느냐가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