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이준석, 이재명에 “친중” 집중 공세…李 “국익 중심 실용외교”

이준석, ‘셰셰’ 발언 문제 삼자 李 “극단적 해석은 부적절”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이 18일 첫 방송토론에서 외교 노선을 두고 격돌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실용주의 외교를 강조하며 자신을 향한 ‘친중국’ 공세에 반박했지만,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과거 발언과 정책을 거론하며 협공을 퍼부었다.
이날 토론에서 이준석 후보는 “최근 대만·중국 문제와 관련해 ‘셰셰(중국어로 감사)’라고만 하면 된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있었다”며 “너무 친중적 입장이 아닌가”라고 공격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단편적 사고”라고 일축하며 “대만과 중국의 분쟁에 깊이 관여하지 말자는 취지로, 국익 중심의 입장을 취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후보는 이어 “이를 ‘친중’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판단해야 하며, 외교의 기준은 오직 대한민국 국익”이라고 강조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에 대해 “그런 태도는 역으로 국제사회가 한국을 분쟁 당사자와 동일 선상에 놓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북한의 충돌을 두고 ‘상관없다’고 한다면 문제가 아니냐”고 반문했다.
토론은 이 후보의 재생에너지 정책으로도 이어졌다. 이준석 후보는 이 후보가 공약한 전남 해남 솔라시도 부지의 풍력 데이터센터에 대해 “중국 기업이 장악한 풍력 산업에 유리한 친중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이 후보는 “데이터센터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세계적 표준”이라며 “친중으로 몰아가려는 시도는 부적절하다”고 맞섰다.
김문수 후보도 가세했다. 그는 “성남시장 시절 사드 철회를 주장했고, 민주당 대표 시절 주한중국대사의 내정간섭성 발언에도 침묵했다”며 “미국 입장에서는 끔찍한 메시지를 계속 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도 물었다.
이 후보는 “한미동맹은 안보동맹에서 경제, 포괄동맹으로 발전해가야 할 외교의 기본 축”이라며 “그러나 완전한 의존은 곤란하다. 중국, 러시아와도 적대적이지 않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김 후보가 “중국은 6·25 전쟁 당시 적국이고 북한과 가까운데 미국과 중국을 동일시하느냐”고 재차 묻자, 이 후보는 “비중의 차이는 분명히 있다. 한미동맹은 심화·발전시켜야 하지만, 그렇다고 올인할 수는 없다”며 “외교는 유동적이고 예민한 영역인 만큼 실사구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