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NATO 사무총장과 회담…美, 러시아 제재 강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월 22일(이하 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우크라이나 전쟁 현안을 논의했다. 회담 직전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강력한 추가 제재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이후 22일 성명에서 러시아의 최대 석유기업 두 곳인 로스네프트(Rosneft)와 루코일(Lukoil)을 대상으로 한 신규 제재를 발표했다. 이는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 능력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다. 해당 제재는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부과했다.
베센트 장관은 성명에서 “지금이야말로 살상을 멈추고 즉각적인 휴전을 이행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뤼터 사무총장의 이번 백악관 방문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네 번째다. 이번 회담에서 뤼터 사무총장은 유럽 국가들과 우크라이나가 준비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12개 항목 평화 계획’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계획에는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를 통해 모스크바를 강하게 압박하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이번 회담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확보 노력이 정체된 가운데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가질 예정이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을 취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월 21일 기자들에게 “헛된 회담은 하고 싶지 않다.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다”며 “향후 2일 내 다음 단계에 대한 발표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의 12개 항목 평화 계획
유럽의 전쟁 종식 계획은 현재 전선에 기반한 휴전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방안과 유사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10월 18일 백악관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접견한 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그들은 현재 위치에서 멈춰야 한다”고 적었다.
“승리는 서로 주장하게 두고, 역사가 판단하게 하자! 더 이상 총격은 없고, 더 이상 죽음은 없으며, 더 이상 막대하고 지속 불가능한 금액이 낭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밝혔다.
유럽 측 계획에는 추방된 아동의 귀환과 포로 교환,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보장, 전쟁 복구 기금, 그리고 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EU) 가입을 위한 명확한 경로 제공도 포함돼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 군사 지원 제공도 제안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과의 잠재적 정상회담을 취소한 결정은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간 전화통화 이후 나온 것이다.
두 외교관은 이번 주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만나기로 예정돼 있었지만 백악관은 통화 후 회담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까운 시일 내에 푸틴과 만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올해 8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은 알래스카에서 회담을 가졌으나 평화를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다. 정상회담 후 푸틴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을 하기로 합의했지만 해당 회담은 아직 열리지 않았다.
뤼터-트럼프 관계
뤼터 사무총장은 지난 8월 18일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기타 유럽 정상들과의 다자 회의에 참여하기 위해 백악관을 방문했다.
두 정상은 올해 6월 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NATO 정상회의에서도 만났으며 이 자리에서 두 사람의 긴밀한 관계가 주목받았다.
뤼터 사무총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NATO 동맹국들을 압박해 방위비를 증액하도록 하고 이란의 핵 능력 해체에 있어 “결단력 있는 행동”을 취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NATO 정상회의 부대회담에서 뤼터 사무총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아빠(daddy)”에 비유해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뤼터 사무총장은 자신의 발언을 옹호하며 트럼프 대통령을 “좋은 친구”라고 칭하고 “그가 모든 칭찬을 받을 만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를 강력히 지지하는 뤼터 사무총장은 2024년 10월 1일부터 NATO 사무총장을 맡고 있으며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을 주도해 왔다.
또한 뤼터 사무총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NATO 회원국으로부터 2035년까지 군사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의 5%까지 늘리도록 약속을 받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이전 목표치인 2%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이정현 기자가 이 기사의 번역 및 정리에 기여했습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