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반중 행사 앞두고…과잉반응 보이는 中 대사관, ‘안전 보장’ 요구

2025년 10월 02일 오후 8:40
반중 시위대 명동 진입 막는 경찰 | 연합뉴스반중 시위대 명동 진입 막는 경찰 | 연합뉴스

반중 시위 앞두고 중국대사관, 중국인 안전 보장 요구
사드 갈등·코로나 대응 불신 등 누적된 한국 내 반중 정서

주한 중국대사관이 3일 예정된 서울 도심 반중 시위와 관련해 “불순한 의도를 가진 소수 세력의 행위”라며 한국 정부에 재한 중국인의 안전 보장을 요청했다.

중국대사관은 2일 홈페이지에 올린 대변인 성명에서 “일부 극우 단체가 중국 관광객이 자주 찾는 명동·대림동 등에서 반중 시위를 벌이고 있다”며 “한국 일부 정치인도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내일 시위는 국경절·추석 등 한중 모두에게 의미 있는 시기에 계획된 것으로, 민심을 얻을 수 없는 불순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대사관은 한국 체류 및 방문 예정 중국인들에게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할 것을 당부하면서, 한국 당국에 대해 “재한 중국인의 합법적 권익과 안전을 철저히 보장해 달라”고 촉구했다.

또한 “한국 정부와 각계 인사들도 소수 세력의 반중 언행이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이익을 훼손한다고 지적하며 대응을 요구해 왔다”며 “양국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는 긍정적으로 발전할 것이고 소수 세력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도 이날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특정 국가와 국민을 겨냥한 괴담과 혐오 발언, 인종차별적 집회가 계속되고 있다”며 “국익과 국가 이미지를 훼손하는 자해행위를 추방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한국 사회에서 반중 정서는 최근 몇 년간 꾸준히 확산돼 왔다. 사드(THAAD) 배치 이후 중국의 경제 보복, 코로나19 초기 대응에 대한 불신, 한류 콘텐츠 차단 등 정치·외교 갈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일부 지역에서의 생활문화 갈등, 중국인 관광객과 관련된 불편 사례, 부동산 투자 확대 등이 누적되면서 반중 여론이 커졌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