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출산율, 사상 최저치로 하락…한국과 같은 ‘초저출산’ 국가로

캐나다의 출산율이 지난해 여성 1인당 1.25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캐나다 통계청의 최신 자료가 밝혔다.
이번 최저치는 2024년 대비 1.6% 감소한 수치로 2022년 6.9%, 2023년 5.2% 감소에 비해 감소 폭은 다소 완화됐다. 그러나 캐나다의 출산율은 2009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고 캐나다 통계청은 전했다.
캐나다는 2023년 출산율이 여성 1인당 1.27명으로 떨어지면서 ‘초저출산(ultra-low fertility)’ 국가로 분류됐다. ‘초저출산’ 국가로 여겨지는 다른 나라로는 한국, 싱가포르, 일본, 스위스, 룩셈부르크, 핀란드, 이탈리아 등이 있다.
2023년 기준으로 한국이 0.72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싱가포르도 1.17명으로 출산율이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낮은 수준으로 초저출산 국가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어 일본과 이탈리아가 각각 1.2명으로 인구 감소와 고령화, 노동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핀란드는 2023년 1.26명으로 역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며 초저출산국가가 됐다.
2023년 룩셈부르크는 1.3명, 스위스는 1.33명으로 초처출산 국가에서는 벗어났으나 여전히 유럽 국가 중에서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캐나다 13개 주(州)·준주(準州) 가운데 9곳이 2024년 기록적인 최저 출산율을 기록했다.
노바스코샤 1.08명,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1.10명, 온타리오 1.21명, 퀘벡 1.34명, 노스웨스트 준주 1.39명, 앨버타 1.41명, 매니토바 1.50명, 서스캐처원 1.58명, 누나부트 2.34명이었다. 브리티시컬럼비아는 2023년 사상 최저치였던 1.00명에서 소폭 상승했지만 2024년에도 1.02명으로 캐나다에서 가장 낮았다.
한편 캐나다의 평균 출산 연령은 거의 50년 동안 꾸준히 상승해 2024년에는 사상 최고인 31.8세를 기록했다. 1976년 평균 출산 연령은 26.7세였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합계출산율이란 ‘특정 연도의 연령별 출산율을 바탕으로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를 뜻한다.
캐나다의 출산율은 수십 년 동안 전반적으로 하락해 왔으며 1959년 여성 1인당 거의 4명(3.94명)에 달했던 정점을 기록한 뒤 줄곧 감소세를 보였다고 2024년 캐나다 통계청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율의 가장 급격한 감소는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초반 사이에 나타났다. 이는 1960년 호르몬 피임약이 월경 주기 조절 용도로 처음 도입된 뒤, 1969년 피임 목적의 사용이 합법화되고 같은 해 낙태 비범죄화가 이뤄진 것과 관련이 있다.
출산율은 1972년 처음으로 여성 1인당 2.1명인 ‘세대 대체 수준(cohort replacement level)’ 아래로 떨어졌는데, 이는 인구를 유지할 만큼의 출생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의미다.
출산율 위기
맥도널드-로리어 연구소가 3월 발표한 보고서는 캐나다의 출산율 하락을 “즉각적인 연방 정부의 조치가 필요한 중대한 공공정책 과제”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여론조사 결과 캐나다 여성들이 실제로 낳을 수 있는 자녀 수보다 더 많은 자녀를 갖길 원한다는 점도 함께 전했다.
보고서는 소득 수준, 생활비, 주택 공급 등의 요인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국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활비 부담을 낮추고 △한계소득세율을 인하하며 △소득 보전 제도를 개선하고 △민간 보육 서비스의 공급을 확대하고 △여성과 남성 모두 부모가 되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회적 규범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보고서 작성자인 로스 매키트릭 캐나다 구엘프대 경제학 교수는 당시 에포크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갖는다는 매우 중요한 삶의 목표를 이루는 데 장애물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매키트릭 교수는 최근 수십 년간의 출산율 관련 학술 연구가 부유한 국가에서 출산율을 높이는 방법이 아닌, 저소득 국가에서 출산율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보고서에서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은 매우 많았다. 그러나 또 다른 원치 않는 결과, 즉 원하는 만큼의 자녀를 갖지 못한 채 가임기를 마치는 상황을 막는 데는 거의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정현 기자가 이 기사의 번역 및 정리에 기여했습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