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 “트럼프 임기 중 美에 반도체 공장 짓는 기업, 관세 면제”

미국 상무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동안 자국 내에 반도체 공장을 설립하는 기업에 한해, 해당 기업의 반도체 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미국 내 설비 투자에 나선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혜택을 받을 전망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7일(현지 시간)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동안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생산설비 건설 계획을 상무부에 신고하고, 공사 전 과정을 감독받는 조건으로 관세 면제를 허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6일 “미국에 반도체를 수출하는 모든 업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단, 미국 내 공장을 짓는 기업은 예외로 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러트닉 장관은 이를 두고 “관세 면제는 단기적 특혜가 아니라 미국 내 반도체 생산기반 확충을 위한 유도책”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로 텍사스주와 인디애나주 등지에 생산 시설을 건설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러트닉 장관은 이러한 정책 유도로 인해 “총 1조 달러(약 1340조 원) 규모의 미국 내 반도체 투자가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대만의 TSMC가 애리조나에 2천억 달러, 마이크론이 뉴욕과 아이다호에 각각 2천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소개하며 “미국 전역에서 대규모 투자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0시를 기해 발효된 새로운 상호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미국 정부의 월간 관세 수입은 50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지난달에는 약 300억 달러의 관세 수입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다음 주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개별 품목별 관세율을 추가 발표할 예정이며, 의약품의 경우 초기에는 소폭 부과하되, 최대 250%까지 인상할 수 있다는 계획도 언급한 바 있다.
한국은 지난 6월 말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반도체 및 의약품에 대해 최혜국대우(MFN)를 보장받은 상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날(7일) 브리핑에서 “(정부는) 최혜국에 대한 약속을 받았다”며 “이번 관세 조치에서 한국 기업들은 예외 적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