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수출 막히고 내수도 부진…中 산업계 ‘과잉 생산’ 악순환

2025년 07월 28일 오전 11:09
중국 산둥성의 옌타이항에서 선적을 기다리는 자동차들 | 신화통신/연합중국 산둥성의 옌타이항에서 선적을 기다리는 자동차들 | 신화통신/연합

정부는 “내수 전환 총력”, 업계는 “그래도 수출이 낫다”… 민관 엇박자

중국 기업들이 내수 부진과 디플레이션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 수출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이로 인해 ‘저가 덤핑’ 논란이 커지고 있다.

각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장벽 등 반격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수출만으로는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출길이 막히면 내수도 그 부담을 떠안기 어렵다는 것이다.

독일의 공영 언론 도이체벨레는 26일(현지시간) 중국 경제가 직면한 내수 침체, 디플레이션 압력, 과잉 생산, 그리고 수출 부진이라는 네 가지 난제를 주제로 진행한 홍콩대 경영대학원 덩시웨이(鄧希煒) 교수와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덩 교수는 인터뷰에서 최근 중국에서 “해외로 나가지 않으면 망한다(不出海就出局)”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며, 중국 기업들의 현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기업들이 이 같은 압박을 받는 데는 두 가지 주요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첫째는 국내 경쟁이 지나치게 치열해진 탓이다. 내부 경쟁의 과열로 인해 중국 내에서 돈을 벌기가 점점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둘째는 미·중 관세 전쟁의 여파다. 과거 미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던 중국 기업들이 주문을 잃으면서 동남아와 멕시코 등으로 활로를 찾아 나설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너무 빠르게, 과도하게 해외 진출을 시도하면서 중국식 경영 방식을 그대로 들이밀다 보니, 현지 시장이 이를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덩 교수는 “중국은 오랫동안 과잉 생산 문제를 안고 있었지만, 과거에는 주로 가전·생활용품 분야에 국한됐다”며, “지금은 서방 선진국의 핵심 기술과 산업 경쟁력을 위협하는 분야로까지 번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이런 과잉 생산을 수출로 해소하려 한다면, 거센 저항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대표 사례로 미국의 관세 정책을 들었다. 미국이 중국산 태양광, 전기차 등의 제품에 대해 무역 장벽을 강화한 것은, 중국의 과잉 생산이 자국 기업들의 이익과 핵심 경쟁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내수 진작을 통해 과잉 생산 문제를 풀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덩 교수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중국 중앙정부는 벌써 20년째 소비가 경제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며, “그러나 실제 산업 정책은 대부분 공급 측면에 집중돼 있고, 소비 진작에 대한 언급은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덩 교수는 올해 초에도 중국공산당 중앙 지도부가 소비 확대를 강조했음을 언급하면서도 “소비하려면 먼저 사람들에게 ‘여윳돈이 있다’는 느낌이 있어야 한다”며,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현재 중국 경제는 과잉 생산과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디플레이션 압력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 심리는 더욱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전쟁을 본격화한 이후, 중국공산당 관영 매체들은 “수출을 내수로 전환하자”는 구호를 내세우며 내수 시장의 잠재력을 강조해 왔다. ‘수출만이 살길’이라는 업계 분위기와는 정반대다.

중국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접근해 온 경제 전문가들은 내수 전환의 성패가 소비 여력 회복에 달려 있다고 입을 모았다.

경제 인플루언서 ‘빙촨’은 지난 4월 분석 보고서에서 “수출을 내수로 전환할 수 있는지는 국내 시장의 수요 여력에 달려 있다”며, “소비 여력이 늘어나지 않는 한,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수출 물량을 내수가 소화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또 다른 전문가도 “현재 중국 경제는 ‘내수 부진 → 수출 의존 → 외부 충격 → 내수 경쟁 심화’의 악순환이 형성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