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中 공장 이전 계약 줄파기…美 우회수출 차단 ‘효력’

中 우회 수출 차단 노린 美 관세 강화에 베트남 투자 계획 잇따라 보류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가 베트남 내 중국계 기업들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일부 업체는 수천만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철회하거나, 이미 진행 중이던 공장 건설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성도일보’는 17일 보도에서 “베트남에 진출한 다수의 중국계 사업자들이 최근 미국의 관세 강화 조치로 인해 계획 중이던 공장 설립을 보류했다”고 전했다.
하노이의 현지화 컨설팅 회사 관계자는 “중국 본토의 전자·완구 제조업체들과 다수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해 왔고, 최대 1억 달러에 달한다”며 “일부는 이미 계약금도 지급된 상태였지만,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로 프로젝트가 전면 중단됐다”고 말했다.
호치민에서 섬유 사업을 운영해 온 한 기업인도 역시 유사한 피해를 토로했다. 그는 “중국 본토의 파트너사가 호치민 인근에 대형 원사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었지만, 최근 관세 리스크가 커지면서 협력 계획이 백지화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화교 사업자는 약 8만㎡ 규모의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해 이미 6만㎡는 완공된 상태지만, 잔여 공사에 대해서는 “일단 멈추기로 했다”고 밝혀 관세 충격의 여파를 실감케 했다.
미국은 지난달 2일 베트남산 일부 수입품에 대해 46%에 달하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미국과 긴급 협상에 나섰고, 같은 달 9일 관세 집행이 90일간 유예되며 세율도 10%로 완화됐다.
싱가포르국립대 동아시아연구소의 천보 선임연구원은 “이번 관세 조치는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선 ‘트럼프 2.0식 공급망 디커플링’의 일환”이라며 “미국은 베트남을 비롯한 제3국을 통해 우회 유입되는 중국산 제품까지 차단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베트남 무역 협정에 ‘중국산 제품 배제’ 또는 ‘역외 가공 제품 제한’ 조항이 포함될 가능성도 제기했다.
베트남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에 따르면,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은 지난 15~16일 제주도에서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만나 첫 장관급 관세 협상을 진행했다. 협상 후 양측은 협상 원칙과 방식, 방향에 관한 수준 높은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