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G20, 미국 보이콧 속 정상회의 첫날 ‘남아공 정상선언’ 채택

2025년 11월 23일 오전 8:22
기념 촬영하는 G20 정상들 | 연합뉴스기념 촬영하는 G20 정상들 | 연합뉴스

개막 직후 선언문 채택…미국 보이콧 속 이례적 결정 2028년 한국 개최 확정…차기 의장국 이양식 불투명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 열린 G20 정상회의가 개막 첫날부터 이례적인 결정을 내렸다. 22일(현지시각)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G20 회의에서 회원국들은 회의 시작 직후 ‘G20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선언’을 전격 채택했다. 통상 폐막일에 선언문을 채택해 온 관례를 깬 것으로, 이번 회의를 사실상 보이콧한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됐다.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개막 발언에서 “압도적인 합의가 이뤄졌다”며 “지금 당장 선언문을 채택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첫 과제”라고 밝혔다. 빈센트 마궤니아 대통령실 대변인도 “컨센서스에 따라 첫 번째 의제로 선언 채택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약 30페이지, 122개 항으로 구성된 선언문에는 G20이 다자주의 원칙에 기반해 운영된다는 점을 재확인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회원국의 ‘동등한 참여’가 강조됐으며 2026년 미국, 2027년 영국, 2028년 한국이 의장국을 맡는다는 일정도 명시돼 2028년 한국 개최가 공식화됐다.

미국은 남아공이 아프리카너스 백인을 박해한다고 주장하며 G20 의제 등을 두고 갈등을 빚은 끝에 이번 회의에 불참했다. 미 정부는 현지 미 대사관을 통해 “미국의 동의 없는 정상선언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남아공 정부에 공식 전달하며 자국의 합의 부재를 반영한 의장성명만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라마포사 대통령은 “겁박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반발했고, 남아공은 개막 직후 선언문 채택을 밀어붙였다.

올해 G20은 미국·중국·러시아 등 주요국 정상이 모두 불참한 가운데 열렸으며, G20 ‘트로이카’ 구성국 가운데 한 국가가 대표단조차 보내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23일 폐막식에서 예정된 ‘미국으로의 의장국 이양식’도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남아공 정부가 미국이 제안한 자국 주재 미국 대사대리의 회의 참석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선언문에는 ▲개발도상국 지원 확대 ▲글로벌 남반구 채무부담 경감 ▲기후회복력 강화 ▲국제금융체제 개혁 촉구 ▲우크라이나·팔레스타인·콩고민주공화국 등 분쟁지역의 ‘지속 가능한 평화’ 지지 등이 담겼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개회식 및 주요 세션에 참석했으며, 믹타(MIKTA) 회동과 프랑스·독일 정상과의 양자회담을 진행했다. 한국 대표단은 23일 세션3 참석 후 남아공 일정을 마치고 마지막 순방지인 튀르키예로 이동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