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트럼프 “한국, 필라델피아 조선소서 핵추진 잠수함 건조할 것”

2025년 10월 30일 오전 7:2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주에서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AF/연합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주에서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AF/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공식 승인했으며, 건조 장소가 필라델피아 조선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 시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이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조선업은 곧 크게 돌아올 것이다. 계속 지켜봐달라”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지금의 구식 디젤 잠수함이 아닌, 핵 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며 “한미 군사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이은 발표는 29일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협상 세부 합의를 공식화한 직후에 나온 것으로, 양국 간 경제·안보 협력이 동시에 진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한국은 핵무장을 위한 것이 아닌, 북한과 중국의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핵추진 잠수함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핵연료 공급 및 기술 협력을 요청한 바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필라델피아 조선소는 과거 미 해군의 잠수함 및 군함을 생산했던 주요 군수 시설로, 현재 한화오션 등 한국 조선업체의 현지 합작 법인이 조선소 재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 한국형 핵추진 잠수함의 일부가 미국 내 생산 인프라를 활용해 건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본격화할 경우, 이는 미국 동맹국 가운데 일본 다음으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핵추진 잠수함 보유 능력을 확보하는 사례가 된다. 그러나 핵연료 사용과 관련한 한미 원자력협정(‘123협정’) 개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향후 기술 이전과 비확산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내에서는 이번 결정이 자국 조선업 부활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한국의 핵잠수함 기술 발전이 동북아 해양 패권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