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국가 시스템 마비…추석 앞두고 혼란 커질 듯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 화재가 발생해 국가 행정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마비됐단 우려가 증폭하고 있다. 이를 고리로 추석 전후 혼란도 팽창할 것이란 우려가 뒤따른다. 이를 방증하듯 인터넷 우체국 등 우편 서비스를 비롯해 우체국 예금 등 금융서비스는 실행되지 않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27일 “동원할 수 있는 최대한의 자원을 활용해 조속히 서비스를 재개하고자 노력 중”이라며 국정자원 화재 사태 수습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우정사업본부가 화재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는 배경으론 택배 물량이 몰리는 추석 연휴 ‘우편 서비스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해서다. 이 기간 우체국 서비스가 마비된다면 우편 대란은 피할 수 없다는 게 중론이다.
전날 밤 8시20분쯤 정부 전산시스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등을 대규모로 보유 및 관리하는 대전 소재 국정자원 전산실에선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해 화재가 났다. 이로써 정부 전산시스템은 전방위적 마비 상태가 됐다. 이날 오전 6시30분쯤 큰불은 잡혔지만 정부 행정 시스템의 완전 복구까진 시간이 소요될 것이란 후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번 화재로 인해 가동이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탬은 대략 436개에 달한다. 436개 시스템은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날 오후 보고서를 통해 “전산시스템 647개 중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대국민 서비스가 436개이고 나머지 211개는 공무원 업무용 행정내부망 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가동이 중단된 서비스 중엔 ▲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우체국 ▲보건복지부 복지로·사회서비스포털 ▲행정안전부 정부24·국민비서·모바일신분증·정보공개시스템·온나라문서·안전신문고·안전디딤돌 ▲조달청 나라장터·종합쇼핑몰 등이 포함됐다.
대통령실은 이번 화재와 관련해 행정력 총동원을 지시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이날 공지에서 “대통령은 전 부처별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른 대응 체계, 대국민 서비스의 이상 유무, 데이터 손상, 백업 여부 등을 국가위기관리센터장과 국무위원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밤새 상황을 점검했다”고 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서울청사 재난상황실에서 중대본 회의에서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불편을 겪으실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세종과 대전에 위치한 정부 부처의 내부 전산망이 마비됐다. 지금 현재 각 부처 홈페이지 접속도 원활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김민석 총리는 각 부처 장관 및 관계자들을 향해 “긴급한 대처를 하면서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해서 철저하게 정리를 해나가야 되겠다”며 “화재 발생 경위라든가 대응 과정, 그리고 앞으로 이런 상황이 생겼을 때 전산망에 대한 백업 체계라든가 비상대책 매뉴얼이 과연 잘 작동했는지 점검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행정안전부는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했다. 또 장애로 인해 다수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된 부분은 네이버 공지를 통해 국민행동요령을 안내했다.
행안부는 ”각 행정기관에서는 기관의 업무연속성 계획에 근거해 전산업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기접수 및 처리, 대체절차 안내, 처리기한 연장, 소급적용 등을 통해 국민에게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