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네팔 친중 정권 붕괴, Z세대 항쟁이 중공에 던진 경고

네팔에서 발생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결국 공산당(통합마르크스레닌주의파) 정권의 붕괴로 이어졌다. KP 샤르마 올리 총리는 민중의 거센 압력 앞에 사임을 발표했고, 대통령까지 자리에서 물러날 가능성이 제기되며 권력 공백이 현실화됐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정권 교체가 아니라, Z세대가 주도한 ‘세대 항쟁’으로 평가된다. 더 나아가 중국공산당 체제에도 직접적인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SNS 차단이 촉발한 Z세대의 분노
사태의 시작은 네팔 정부의 소셜미디어 검열이었다. 9월 초 네팔 정부는 페이스북, 유튜브, X(옛 트위터) 등 26개 주요 플랫폼을 전면 차단했다. 당국은 해외 기업들이 현지 법인 등록과 규제 준수를 거부했다고 주장했지만, 청년층은 이를 “표현의 자유 억압”으로 받아들였다. 특히 온라인 소통에 의존하던 Z세대는 즉각 거리로 쏟아져 나와 “검열 철회”를 외쳤다.
정부는 하루 만에 차단을 해제했으나 이미 불길은 번져 있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시위는 검열 자체에 대한 반발을 넘어, 기득권과 부패, 권위주의 정치 구조에 대한 청년 세대의 총체적 거부 선언”이라고 진단한다.
거리로 확산된 ‘세대 항쟁’
시위대는 곧 단순히 SNS 자유를 넘어, 특권적 정치 엘리트와 만연한 부패를 정조준했다. 카트만두 국회의사당과 정부 청사가 방화로 불탔고, 총리 사저와 여당 본부가 습격당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고무탄, 실탄까지 동원했지만, 시민들은 화염병과 돌을 던지며 맞섰다.
보건 당국은 최소 19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부상했다고 밝혔지만, 일부 매체는 사망자가 30명에 달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SNS에는 공산당 본부가 불타는 장면과 당 깃발이 찢겨 군중에게 던져지는 영상이 확산되며 항쟁은 전국으로 들불처럼 퍼져갔다.
총리 사임과 권력 공백
9월 9일, 올리 총리는 결국 사임을 선언했다. 대통령은 과도정부 구성에 착수했으나 본인 역시 물러났다는 소문이 돌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일부 영상에는 올리 총리와 고위 관리들이 헬리콥터를 타고 카트만두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군은 통행금지령을 발동하고 시위 진압에 나섰지만 민심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네팔은 사실상 권력 공백 상태에 빠졌으며, 시민사회와 야권은 전 대법원장 수실라 카르키를 중심으로 한 과도정부 구성을 논의하고 있다.
중국 변수: 친중 행보의 역풍
올리 정권은 집권 이후 중국과의 밀착을 강화했다. 지난해 말에는 일대일로(BRI) 협정에 서명했고, 불과 며칠 전에는 베이징 군사 열병식에 참석해 시진핑과 가까운 모습을 연출했다. 그러나 네팔의 극심한 경제난과 청년 실업률 속에서 이러한 행보는 ‘중국에 예속된 정권’이라는 불신을 키웠다.
분노한 시위대는 시진핑 초상화를 불태우며 반중 정서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중국 외교부는 “네팔 내부 문제”라며 거리를 두었지만, 현지 민심은 공산당 정권과 중국을 동일시했다. 이는 단순한 외교 문제가 아니라, 중국식 권위주의 모델 자체가 청년 세대에게 거부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내부의 불안 요인
네팔 사태는 중국공산당에도 직접적인 불안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역시 네팔과 유사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 인터넷 검열과 표현의 자유 억압: 중국은 ‘만리방화벽’을 통해 페이스북, 유튜브, X 등 해외 플랫폼을 차단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네팔 사례처럼, 극단적 검열은 언제든 민심 폭발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
▣ 청년 실업과 좌절: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2024년 기준 20%를 넘나들며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탕핑(躺平·드러눕기)’과 ‘바이란(擺爛·포기하기)’ 같은 체념적 신조어가 확산되며, Z세대의 불만은 구조화되고 있다.
▣ 부패와 특권 구조: 네팔처럼 중국에서도 권력자 자녀들의 특혜와 부의 과시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반부패 드라이브가 이어지고 있지만, ‘선택적 처벌’이라는 불신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 민심 불안과 잠재적 항쟁: 2022년 말 ‘백지시위’는 단순히 방역정책 철회 요구를 넘어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네팔의 ‘Z세대 항쟁’은 중국 네티즌들에게 또 다른 거울로 작용하고 있다.
즉, 중국공산당 체제 역시 겉으로는 강한 흉내를 내보내지만 내부적으로는 취약하다. “언제든 민중의 분노가 폭발하면 무너질 수 있다”는 평가는 네팔뿐 아니라 중국에도 해당된다.
국제사회의 시선과 향후 전망
인도는 네팔 사태 직후 “민주주의 회복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과 유럽연합 역시 과도한 폭력 사용을 경고하며 민주적 절차 복원을 촉구했다. 국제사회는 이번 사태를 네팔 내부 문제가 아닌, 아시아 권위주의 정권 전반의 불안정성으로 보고 있다.
향후 관건은 ▲과도내각 구성과 조기 총선 ▲군의 개입 정도 ▲대중 외교 노선의 재조정이다. 무엇보다 이번 항쟁을 주도한 세력이 Z세대라는 점은 네팔 정치 지형뿐 아니라 아시아 민주주의 담론 전체에 큰 파급력을 남길 것으로 보인다.
‘도미노 효과’ 가능성…제스민 혁명과의 비교
이번 네팔 사태는 2011년 북아프리카와 중동을 휩쓴 ‘제스민 혁명’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튀니지에서 시작된 민중 봉기가 이집트·리비아·예멘으로 확산되며 권위주의 정권을 도미노처럼 무너뜨렸다.
네팔의 ‘Z세대 항쟁’ 역시 아시아 각국, 특히 중국과 미얀마, 캄보디아 등 권위주의 국가들에 강력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억압적 통치가 장기 지속되기 어렵다는 사실, 그리고 청년 세대의 분노가 정치 질서를 송두리째 바꿀 수 있다는 교훈이 그것이다.
네팔에서 베이징까지…‘세대 항쟁’의 불길
네팔의 정권 붕괴는 단지 한 나라의 혼란이 아니라, 아시아 권위주의 체제 전반에 균열을 예고하는 신호탄이다. 특히 중국은 네팔 사태와 유사한 구조적 불안 요인을 안고 있으며, 청년 세대의 좌절과 분노가 언제든 ‘민중 항쟁’으로 폭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긴장하고 있다.
억압으로 겉으로는 안정된 듯 보이는 중국공산당 체제도 사실은 ‘화산 폭발 직전’에 있는 상황이다. 네팔의 사례는 국민의 힘이 결국 모든 정권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증명하고 있다.
아랍의 제스민 혁명이 그랬듯, 이번 네팔 항쟁은 아시아 전역에서 도미노처럼 권위주의 정권을 흔들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 기사는 저자의 견해를 나타내며 에포크타임스의 편집 방향성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