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확산…124건·8천만원 피해, 초기 대응 논란

경기 광명·부천, 서울 금천서 집중 발생
KT 초기 대응 부실, 정부·기업 책임론 제기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피해 금액은 이미 8천만 원을 넘어섰으며, 초기 대응 과정에서 KT의 미흡한 조치가 피해 확산을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9일 오후 6시까지 접수된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가 총 124건, 피해액 약 8천60만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불과 나흘 만에 피해 건수는 74건에서 124건으로, 피해 금액은 수천만 원 늘어났다.
피해는 경기 광명시(73건·4천730만원), 서울 금천구(45건·2천850만원), 경기 부천시(6건·480만원)에서 집중 확인됐다. 하지만 인천 부평구, 서울 영등포구, 경기 과천시 등에서도 유사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찰은 피해자들이 모두 KT 이용자이며, 일부는 KT 전산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라고 밝혔다. 경기남부청은 사건을 병합 수사하기 위해 각 지역 경찰서에 접수된 사건을 일괄 이첩받아 수사할 방침이다.
논란의 핵심은 KT의 초기 대응 태도다. 경찰은 지난 1일과 2일, KT 본사와 지점에 사건 발생 사실을 통보했지만, 당시 KT 측은 “KT는 뚫릴 수 없다”, “그런 사건은 발생할 수 없다”며 문제 가능성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안팎에서는 KT가 조기 대응을 거부하면서 피해 확산을 사실상 방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뒤늦게 정부도 대응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8일 밤 피해 신고를 접수한 즉시 현장 조사에 착수해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KT 통신망에 접근했을 가능성을 확인하고, 긴급 차단을 지시했다. KT는 9일 오전부터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접속을 전면 차단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단순한 소액결제 피해를 넘어, 결제 카드 정보 유출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을 경고한다. 이는 단순한 해킹 사건을 넘어, 국내 통신사와 정부의 보안 대응 체계 전반을 재검증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던지고 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