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플로리다주, 백신 의무접종 폐지 추진… “노예제나 마찬가지”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백신 의무 접종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3일(현지시간)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ke America Healthy Again·MAHA)’ 위원회 출범을 선언한 가운데, 주 보건국장 조셉 라다포는 주 전역의 모든 백신 의무 접종 명령을 철폐하겠다고 밝혔다.
라다포 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모든 백신 강제(의무) 접종 명령은 전부 잘못된 것으로, 노예제의 잔재와 다름없다”며 “당신에 몸에 뭔가를 넣어야 한다고 정부가 강제할 권리는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플로리다 보건부는 주지사와 협력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장관이 추진하는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계획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했다.
라다포 국장은 “정부든 개인이든, 내가 무슨 자격으로 당신에게 어떤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말할 수 있겠나. 또 당신 자녀가 어떤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강제할 권리가 있겠나. 나는 그런 권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NBC뉴스에 따르면, 현재 플로리다주는 공립학교 학생에게 최신 백신 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백신 접종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고 있다.
라다포 국장은 ‘백신 음모론’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선을 그었다. 그는 백신 자체에 배타적이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며 “누군가 어떤 백신을 접종하기 원한다면 신의 축복이 있기를, 현명한 선택을 하기를 바란다. 또 접종을 원하지 않는다면 역시 신의 축복이 있기를, 현명한 선택을 하기를 바란다. 이것이 마땅한 길”이라고 말했다. 개인의 선택과 권리에 초점을 맞췄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 보건부 케네디 장관은 코로나19 백신 제조에 투입된 기술인 mRNA 초기 연구에 기여한 로버트 말론 박사를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독립 백신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한 바 있다. 말론 박사는 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라다포에 관해 “현 체제 개선에 열정을 가진 신중한 과학자”라고 평가했다.
라다포 국장은 과거에도 주정부의 백신 정책을 비판한 바 있다. 그는 65세 미만은 mRNA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당시 CDC 지침과 정면으로 배치됐다.
또 2024년 플로리다에서 홍역이 확산했을 때도 부모에게 “증상을 잘 관찰하라”고만 권고하며, 자녀의 등교 여부는 각 가정의 선택에 맡긴다고 했다. 그는 백신 접종을 권장하지 않았다.
이번에 출범한 ‘플로리다 MAHA 위원회’는 케이시 드샌티스(주지사 부인)와 제이 콜린스 부지사가 공동 위원장을 맡는다. 라다포 보건국장을 비롯해 시본 해리스 보건의료관리국장, 테일러 해치 아동·가족부 장관도 위원으로 합류한다.
드샌티스 주지사는 “플로리다 MAHA 위원회는 주민의 권한을 강화하고, 규제 부담을 줄이며, 책임성을 높이는 개혁을 우선 과제로 삼을 것”이라며 “건강한 삶과 혁신을 촉진할 유인책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주 등 민주당 우세 지역 주지사들은 이날 ‘서부 연안 보건 동맹’을 결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연방정부의 새 백신 지침 대신 자체적인 백신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매사추세츠, 메인, 버몬트, 코네티컷, 로드아일랜드, 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등 대부분 민주당 소속 주지사가 이끄는 지역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자를 고령자로만 한정해야 한다는 의견은 보건부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미 식품의약국(FDA) 역시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고령자와 고위험군으로 한정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