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공산당, 4중전회 10월 개최 발표…“권력투쟁 속 불안감 반영”

‘15차 5개년 계획’ 논의 명분…당내 고위층 숙청·계파투쟁설 무성
중국공산당이 오는 10월 베이징에서 제20기 제4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4중전회)를 열기로 했다. 중국공산당 지도부 내 권력 투쟁설이 잇따르는 가운데, 4중전회 일정이 공식화되자 그 정치적 함의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은 30일, “중공 정치국이 이날 회의를 열고 오는 10월 4중전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며 “주요 의제는 정치국이 중앙위원회에 업무를 보고하고,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 제정에 관한 제안을 논의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통신은 4중전회 개최 소식을 전하며 ‘기타 사안도 함께 논의됐다’는 간략한 언급 외에는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당초 중화권에서는 4중전회가 8월 말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봤으나 예상보다 개최가 늦어진 것을 두고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최근 잇따른 고위급 인사 낙마 및 군부 숙청 등 권력투쟁이 고조되면서 일정이 늦춰졌다는 것이다.
시진핑 진영은 2022년 20차 당대회를 계기로 당·정·군 전반에 걸쳐 권력을 장악했지만, 이후 외교적 마찰과 경제 침체 속에서 내홍을 겪은 것으로 관측된다. 국방부 장관이던 리상푸(李尚福), 전임자인 웨이펑허(魏鳳和)가 잇달아 퇴진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이자 군정지도기관 수장인 먀오화(苗華)가 물러났고, 올해 양회(兩會) 이후 군사위 부주석 허웨이둥(何衛東)은 실종 상태다. 이들은 모두 시진핑이 직접 임명했거나 측근에 속하는 인물이다.
일본 닛케이아시아의 중국 지국장을 지냈던 카즈지 나카자와는 지난 1월 “중국공산당 내 파벌 갈등이 확연히 심화되고 있다”며 “올해는 차기 지도부 인선의 향배를 가를 중요한 해로, 정치적 격변이 베이징에서 터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4중전회는 후계 구도 윤곽이 드러날 수 있는 회의로 꼽힌다. 올해는 이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과 함께 시진핑의 후계자를 둘러싼 여러 루머도 퍼지고 있다.
지난 6월 말 시진핑 주재로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이례적으로 ‘당 중앙 의사결정 협조기구’ 설립을 논의한 것도 큰 주목을 받았다. 나카자와는 이를 두고 “시진핑이 직접 설계한 정책 결정 시스템이 현재 경제 위기 속에서 시험대에 오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문제 전문가 리린이는 “현재 중국공산당은 마치 왕조 몰락 직전과 같은 불안감이 감돌고 있다. 부패한 권력은 종종 내부 투쟁으로 순식간에 붕괴한다”며 변화에 대한 민중의 열망이 4중전회에 반영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