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하이크비전, 캐나다 영업중단 명령에 반발

중국의 감시카메라 제조업체 하이크비전(Hikvision)은 최근 캐나다 연방정부가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자사에 대해 영업 중단 및 철수를 명령한 데 대해 사법적 판단을 요청하고 나섰다.
하이크비전은 7일(이하 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에서 캐나다 법무장관을 상대로 연방정부의 영업 중단 명령에 대한 사법 심사를 요청하는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멜라니 졸리 캐나다 산업부 장관은 지난달 27일 이 같은 결정을 발표하며 “하이크비전의 캐나다 내 지속적인 영업은 국가 안보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정부가 판단했다고 밝혔다.
하이크비전은 성명을 통해 “이번 신청은 해당 명령에 강력히 이의를 제기하고 우리가 옳다고 믿는 바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며 “캐나다의 법적 절차를 통해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7일 발표한 성명에서 하이크비전은 자사 제품과 기술이 “캐나다를 포함해, 우리가 (사업을) 운영하는 어떠한 국가에서도 국가 안보를 위협한 바 없다”고 주장하며 자사 입장을 계속해서 방어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 회사는 “캐나다에 진출한 모든 투자자와 기업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이 사법 시스템에 의해 충분히 존중되고 보호받기를 기대한다”며 “하이크비전은 캐나다 시장과 캐나다 내 이해관계자들에게 계속해서 전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이크비전은 법원에 사법 심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캐나다 정부의 영업 중단 명령을 유예해 달라고 요청했다. 회사 측은 이와 관련해 명령의 효력을 일시 정지시킬지 여부에 대한 법원 판단이 나올 때까지 정상적인 영업을 재개하기로 캐나다 법무장관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졸리 산업부 장관은 이번 결정이 캐나다 안보 및 정보당국의 증거에 기반한 국가 안보 검토 결과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하이크비전의 제품은 앞으로 캐나다 정부 부처와 산하기관, 국영기업에서 전면 금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이크비전은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성 때문에 미국, 영국, 호주 등 여러 국가에서 제재를 받아왔다.
이 회사는 중국 정권이 부분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최근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국영 군수 기업인 중국전자기술그룹공사(CETC)가 회사의 ‘실질적 지배자’로 명시돼 있다.
미국 워싱턴 소재 국방정책 싱크탱크 ‘제임스타운 재단’은 CETC가 중국 인민해방군을 위한 기술 개발에 있어 “명확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CETC 산하 자회사는 하이크비전의 최대 주주이기도 하다.
미국은 하이크비전이 중국 서북부 신장 지역에서 벌어진 인권 탄압에 연루된 의혹과 관련해 제재를 가했다. 신장 지역에서는 위구르족과 기타 무슬림 소수민족들이 국가 주도 억압에 직면해 있다. 생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들에 대한 탄압에는 재교육 수용소, 강제노동, 강제 불임 수술, 정치적 세뇌, 전기 고문 등이 포함돼 있다.
하이크비전은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을 감시하는 데 필요한 감시 장비를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미국 기술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의 2021년 보도에 따르면 이로 인해 홈디포 등 일부 기업들이 자사 매장에서 하이크비전 제품을 철수시키기도 했다.
또한 미국 펜실베이니아에 본사를 둔 감시 기술 전문 정보업체 IPVM의 보도에 따르면 하이크비전은 중국 정부가 수감자들을 감시하기 위한 장비를 제공한 혐의도 있으며 고문 장비에 통합될 수 있는 장치를 제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하이크비전이 중국 군부에 의해 소유되거나 지배되고 있다고 판단해 이를 지정했으며 이에 대해 회사 측은 부인해 왔다. 이후 미국은 하이크비전 제품이 “미국 국가 안보 또는 미국 국민의 안전에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한다”고 판단해 해당 회사에 대한 장비 인증을 금지했다.
영국과 호주도 최근 몇 년 사이 프라이버시 및 보안 우려를 이유로 하이크비전을 비롯한 중국산 감시카메라들을 정부 건물에서 철거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정현 기자가 이 기사의 번역과 정리에 기여했습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