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당국 “물가 너무 낮아, 가격 정상화하겠다”…여론은 싸늘

국가통계국 “물가 합리적 반등” 강조…소비자들은 실업·내수 부진에 반발
전문가들 “경기침체 심화 국면…물가 조정으로 디플레이션 탈출 쉽지 않아”
중국 경제가 가파르게 위축되고 있다.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 모두 하락세가 지속되며 사실상 디플레이션 국면에 진입한 가운데, 중국 당국은 ‘가격의 합리적 회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9일 국무원이 주최한 ‘2025년 4월 국민경제운영 상황’ 브리핑에서 “현재 물가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기업 경영에 부담을 주고, 주민들의 고용과 소득 증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며 “향후 가격의 합리적 반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물가가 너무 낮아서 정부가 ‘가격 반등’을 추진하겠다는 발표에 중국 소셜미디어에서는 거센 비판 여론이 일었다. “얼마 전까지 디플레이션을 부인하더니 이제 와서 가격 인상?”, “임금 정상화는 왜 얘기 안 하냐” 등 냉소적 반응이 줄을 이었다. 한 누리꾼은 “가격만 올리면 소비가 촉진되냐”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10일 중국 당국이 발표한 4월 경제 지표에 따르면,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하락해 지난 6개월 사이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3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가 이미 ‘심층 디플레이션의 소용돌이’에 빠졌다고 분석한다. 대만 경제평론가 황스충(黄世聪)은 “원자재 가격 하락과 수요 위축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중국 내 공장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존에 생산해 놓은 제품이 재고로 쌓이고 있는데도 생산단가는 계속 떨어지면서 새로 생산한 제품 가격이 더 싸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며 “팔리지 않은 재고가 누적되면 공장의 부담은 눈덩이처럼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중국 자본시장 전문가인 쉬전(徐真)도 미국과의 관세 전쟁이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을 입혔다고 진단했다. 그는 “수출길이 막히면서 기업들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고, 그 결과 PPI가 전년·전월 대비 모두 하락했다”며 “중국 당국이 CPI나 PPI 지표를 실질적으로 개선할 여지는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디플레이션은 단기 현상이 아니라 점점 심화되는 추세로, 중국 경제의 상황은 갈수록 악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가전업계에 종사하는 왕(王)모씨는 NTD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관세 전쟁은 수출 기업뿐 아니라 내수 기업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왕씨는 “우리 회사는 그동안 내수 위주로 제품을 판매해 왔는데 최근 미국 수출이 막힌 메이디, 하이센스 같은 대형 수출 가전업체들이 내수 시장으로 방향을 틀면서 시장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회사는 이윤 감소에 대비해 이미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주로 외자 기업을 상대하는 중국 본토의 한 변호사는 “현재 수출 기업의 절반가량이 문을 닫거나 사업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며 “그만큼 내 업무도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 5일, 아시아타임스는 “중국 경제는 디플레이션이라는 죽음의 소용돌이 가장자리에 있다”며 수출 기업의 내수 전환 정책의 문제점을 심도 있게 분석했다.
이 기사에서는 “수출용 제품을 대폭 할인해 내수 플랫폼으로 돌리는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효과 있어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각 산업의 가격 결정력을 약화시키고 수익성을 훼손할 뿐 아니라 새로운 비용 절감 경쟁을 부추길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