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與 미디어특위 “中 네티즌 댓글 여론조작 확인돼…기업에 대책 촉구”

2024년 11월 11일 오전 11:37

“네이버, 과거 드루킹 조작 악용에도 여전히 미온적 대응”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위원장 이상휘)가 중국 네티즌의 댓글 여론 조작이 사실로 드러났다며, 플랫폼 기업의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11월 11일 오전, 미디어특위는 성명을 내고 “자동차나 스마트폰과 같이 한중 기업 간의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는 산업 분야 보도와 관련해 중국 네티즌이 조직적으로 한국 기업에 부정적인 댓글을 달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밝혔다.

11월 9일 자 한경비즈니스 <“삼성전자·현대차 곧 망한다고?”…댓글 쓴 사람 추적해보니 ‘충격’> 보도를 인용해 “중국 네티즌들이 조직적으로 중국 제품을 칭송하고 한국산을 비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특위는 “이 분석이 사실이라면, 그간 줄기차게 제기돼 왔던 ‘중국 네티즌 댓글 조작’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는 것”이라며 “댓글의 내용과 기법을 살펴보면, 매우 치밀하게 우리 국민의 정서와 인식을 왜곡하고 대한민국 국익에 반하는 방향으로 여론을 호도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성명에 따르면 한국 기업에 대한 불안과 거부감을 조장하고, 특정 정권이 들어서면 미국과 일본의 속국이 된다는 식의 선동도 확인됐다. 미디어특위는 “특히 정치 성향이나 성별, 지역 갈등을 중점적으로 조장했다는 분석은 매우 충격적”이라며 “이 같은 중국 네티즌의 댓글 조작은, 당연히 한중 산업 경쟁 외에도 주요 외교적 사안, 한국 내 각종 루머와 괴담에 대해서도 행해졌을 것으로 강하게 추정된다”고 피력했다. 이어 “남남갈등을 증폭시킴으로써 대한민국 국익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중국 정권에 유리한 방향으로 분위기를 조성할 유인은 차고 넘친다”고 부연했다.

미디어특위는 이를 알고도 조처하지 않는 기업을 향해 쓴소리를 이어갔다.

특위는 “문제는 이처럼 국내외 주요 플랫폼 서비스가 중국 네티즌의 조작 침투 공간으로 전락해 버린 것을 보고도 책임 있는 조치에 나서지 않는 기업의 방관과 회피”라며 “특히 국내 최대 규모 포털 기업 네이버는 과거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의 주요 활동 무대로 악용된 전례가 있음에도 여전히 미온적 대응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특히 댓글의 경우 현재도 ‘공감비율순’, ‘순공감순’ 같은 배열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외관상 높은 공감을 받은 댓글이 다수 국민의 생각을 반영하는 것처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조작과 왜곡에 매우 취약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왜 이러한 사실을 알고도 개선해 나가지 않는 것인지, 그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 외에도 댓글 국적 표기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이미 전문가와 정치권 사이에서 나와 있다”며 “네이버를 비롯한, 국내외 주요 플랫폼 기업은 타국 네티즌에 의한 집단적 댓글 조작과 같은 여론 왜곡 범죄를 봉쇄하는 합리적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앞서 지난 10월 31일에도 미디어특위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 후속 모델로 수백 명 규모의 풀(Pool)단을 구성·운용하겠다’는 네이버의 방침에 대해 “수백 명, 수천 명의 풀단을 구성하더라도 좌편향 매체만 대거 CP사로 입점해 막대한 수익을 독점하고 여론 형성에 영향력을 미친다면 용납할 수 없는 불공정”이라며 “깜깜이 제평위를 중단하고 뉴스 서비스 개인정보 유용 의혹부터 제대로 해명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