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온라인 취업 사기 참사…한국인 2명 160일 만에 구조

박찬대 의원 도움으로 구출…재외국민 보호 체계 강화 시급
외교부 장관, 캄보디아 정부에 온라인 스캠 근절·신속대응 촉구
캄보디아에서 온라인 취업 사기에 속아 감금된 한국인 2명이 160일 만에 구조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박찬대 의원은 피해자 B씨의 어머니로부터 구조 요청을 받고 외교부, 영사관 등과 협력해 두 사람을 구출했다.
이들은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IT 관련 취업 광고를 보고 캄보디아로 향했으나, 현지에서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에 강제로 가담하게 됐다.
피해자 A씨는 도착 직후 범죄 조직에 끌려가, 일을 거부하면 쇠파이프와 전기충격기로 폭행을 당하고 수갑에 묶여 감금되는 등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
같은 방에 있던 B씨도 폭행과 감금에 시달렸으며, 두 사람은 텔레그램을 통해 구조 요청을 시도했지만 발각돼 탈출이 실패하기도 했다. 결국 A씨의 기지로 현지 경찰이 개입하면서 구조에 성공했다.
박 의원은 재외국민 보호 체계 강화를 위해 영사조력법 개정안을 지난달 30일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에는 재외국민 사건·사고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과 평가, 실종 신고에 대한 적극 대응 등이 포함되며, 박 의원은 “국무조정실 등 관계 기관이 적극 협력해 국민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도 캄보디아 등지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한국인이 많아 법적·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취업사기와 감금 피해가 급증하는 것과 관련해 주한 캄보디아 대사를 초치하고 온라인 스캠 근절과 실질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조 장관은 양국 경찰 당국 간 협력을 통해 피해 예방과 신속 대응 체계 구축을 요청했으며, 프놈펜 지역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정부는 주캄보디아대사관 인력 보강과 ‘해외 보이스피싱 사범 대응 TF’ 운영 등을 통해 피해 예방과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이번 사태가 양국 인적 교류와 개발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캄보디아 측과 협력할 계획이다.
이번 사건은 지난 7월 대학생 박모씨(22)가 해외 박람회 참석을 이유로 캄보디아에 갔다가 현지에서 납치·고문을 당하고 사망한 사건과 궤를 같이한다. 경찰은 국내에서 피해자를 유인한 조직원을 조사 중이며, 현지 경찰은 사인을 ‘고문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추정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2022년 20건에서 지난해 220건, 올해 8월까지 330건으로 급증했다. 캄보디아는 보이스피싱, 불법 카지노, 마약 거래가 집중된 조직범죄 거점으로 변모한 상태다.
한국인은 현지에서 상대적으로 법적 보호가 미흡하고, 국제 송금이나 보이스피싱 범죄에 이용하기 용이하며, 영어와 인터넷 사용에 익숙해 온라인 범죄 활동에 가담시키기 좋다는 이유로 범죄 조직의 표적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