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러시아 원유 구입’ 중국에 “추가 관세 부과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6일(이하 현지시간)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중국산 제품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산 제품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산 원유 구매국에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기존 경고에 따른 조치다.
중국에 대해서도 유사한 제재가 가해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그럴 수도 있다(It could happen)”고 말했다.
“그럴 수도 있다. 나도 잘 모른다. 지금은 말할 수 없다. 우리는 인도에 대해 그렇게 했다. 아마 다른 몇몇 국가들에 대해서도 그렇게 할 것 같다. 그중 하나가 중국일 수도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말했다.
중국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는 베이징과 워싱턴 간 무역 협상에서 갈등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7월 30일 미국의 ‘강요와 압박’을 일축하며 “중국 정부는 국익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항상 에너지 공급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주요 러시아산 원유 구매국을 겨냥한 이번 조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평화 협상에 나서도록 압박하기 위한 트럼프 행정부 전략의 일환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14일 2차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러시아에 50일 시한을 제시했으나 지난주 그 시한을 10~12일로 단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 대한 관세 인상 명령에 앞서 CNBC의 아침방송 ‘스콰크 박스(Squawk Box)’에 출연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가 “전쟁 기계를 움직이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은 자국 국민에게 저렴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핀란드에 본부를 둔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CA)가 7월 11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석유 제품을 금수 조치한 이후 중국과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의 최대 수입국으로 떠올랐다.
2022년 12월부터 2025년 6월 말까지 러시아의 원유 수출 중 47%는 중국이, 38%는 인도가 각각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안 터키와 중국은 러시아산 정제유 수출 분량의 각각 26%, 13%를 수입했다. 브라질은 러시아산 석유 제품의 12%를 구매해 터키와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수입국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 것과 관련해 중국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郭家坤)은 8월 7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세 사용에 반대하는 중국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고 밝혔다.
한편 크렘린은 같은 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며칠 내 만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하워드 루트닉 미 상무장관에 따르면 오는 8월 12일 만료 예정이던 미·중 관세 유예 조치는 90일 추가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이정현 기자가 이 기사의 번역 및 정리에 기여했습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