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美 유네스코 탈퇴 지시…“中공산당 연계·反이스라엘”

미국 국무부는 7월 2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이 2026년 말에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에서 탈퇴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이념적 차이와 반이스라엘 편견, 그리고 미국 외교정책과 맞지 않는 ‘글로벌리스트’ 의제를 이유로 들었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성명에서 “유네스코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 기관이 “분열을 조장하는 사회적, 문화적 의제”를 추진하고 유엔의 지속가능 발전 목표를 우선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글로벌리스트” 의제라고 부르며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 외교정책과 상충된다고 덧붙였다.
그에 따르면, 미국은 7월 22일 오드리 아줄레이 유네스코 사무총장에게 공식적인 탈퇴 통보서를 전달했다. 기구 헌장 제2조 6항에 따라 시행되는 이번 탈퇴 조치는 2026년 12월 31일 발효될 예정이다. 그 날짜까지 미국은 정회원으로서 계속 참여한다.
미국이 유네스코에서 탈퇴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하에서는 두 번째다. 첫 탈퇴는 1984년 레이건 행정부 때였다.
미국은 지난 2017년 트럼프 1기 임기 중 유네스코가 반이스라엘 편견을 갖고 있다는 이유로 탈퇴했다. 2023년 조 바이든 대통령하에서 재가입했는데, 바이든은 이 조치가 유네스코 내에서 증가하는 중국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워싱턴 소재 위구르 인권프로젝트의 2023년 보고서는 유네스코가 위구르의 인권 상황에 대해 침묵을 지키고 심지어 중국공산당(CCP)을 엄호해 줌으로써 중국 공산정권의 위구르족과 그들의 문화에 대한 만행에 “공모”했다고 밝혔다.
백악관 부대변인 애나 켈리는 유네스코 탈퇴 결정이 미국 국익의 관점에서 여러 국제기구 회원국 지위를 재평가하려는 트럼프의 폭넓은 의지를 반영한다고 말했다.
켈리는 7월 22일 X 게시물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유네스코가 워키즘(wokeism)에 빠져 있고 분열적인 문화적, 사회적 의제를 지지하기 때문에 미국이 탈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녀는 “대통령은 항상 미국을 우선시할 것이다. 모든 국제기구에서 우리의 회원국 지위는 우리의 국익과 일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루스는 성명에서 유네스코가 2011년 ‘팔레스타인’을 회원국으로 승인한 결정에 대한 미국의 반대 입장을 재확인하며, 이를 “매우 문제가 많은 결정이다. 유네스코 내 반이스라엘 담론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레이건 행정부는 1984년 부실한 조직 관리와 친소련 편향에 대한 우려 때문에 처음 미국을 유네스코에서 탈퇴시켰다. 미국은 2003년 부시 행정부하에서 재가입했지만, 유네스코의 팔레스타인 승인에 따라 2011년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2024년 연방 예산에서 유네스코 회비 지급을 재개하고 6억 달러 이상의 미납금을 납부하기 위해 1억5천만 달러를 요청했었다. 미국의 기여금은 한때 유네스코 운영 예산의 22%를 차지했다.
탐사 저널리스트인 알렉스 뉴먼은 2020년 미국 고위 관리들과 분석가들이 유네스코를 포함한 유엔과 그 산하기구들을 중국공산당이 “장악”하는 현상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케빈 몰리 전 미국 국제기구담당 국무차관보는 에포크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유네스코는 고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몰리는 유네스코의 정책 결정이 “대부분 중국공산당과 그 동맹국들에 의해 장악되었다”고 말하면서, 중국공산당의 UN 장악을 “건국 이래 우리 공화국에 대한 가장 큰 실존적 위협”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탈퇴 발표에 대해 오드리 아줄레이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이번 결정을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다자주의의 근본 원칙에 반한다”고 말했다.
아줄레이는 이번 조치가 세계유산 인정과 기타 지위를 추구하는 미국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지난 2017년에 미국이 탈퇴했을 때보다 현재 UNESCO가 재정적으로 더 탄력적이라고 강조했으며, 2018년 이후 다른 국가들의 자발적 기여금이 두 배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합중국은 언제나 환영받을 것”이라며, “유네스코가 미국 행정부와 의회와의 정치적 대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강덕 기자가 이 기사의 번역 및 정리에 기여했습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