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전법 시행 5년 홍콩…“신고 무서워 식당서도 입조심”

대만서 홍콩 포럼 “청년들, 체제에 충성 맹세해야 생존”
“언론·표현의 자유 위축되고 시민사회 전방위 붕괴”
홍콩 국가안전법 시행 5주년을 맞아 대만에서 열린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홍콩은 더 이상 자유 도시가 아니다”라며 “대만은 홍콩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경계심을 늦춰선 안 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8일, 타이베이에서 열린 ‘홍콩안전법 5주년 좌담회’에는 대만과 홍콩 출신 학자, 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해 홍콩에서 벌어진 사회 변화와 그 여파를 조명했다. 이번 행사는 ‘중화 홍콩마카오 우호협회’ 주최로 열렸다.
포럼에서는 홍콩 내 언론 및 표현의 자유 제한과, 시민사회의 급격한 위축과, 수만 명의 홍콩 시민이 외국이나 다른 지역으로 떠날 수밖에 없었던 현실이 집중적으로 조명됐다.
홍콩중문대 학생회 부회장을 지낸 로쯔웨이(羅子維)는 “홍콩 청년들이 여전히 미래를 꿈꾸고 싶다면, 이 체제에 형식적으로나마 충성을 맹세해야 한다”며 “이것이 지금 젊은이들이 살아남기 위해 감내해야 하는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대만 중앙연구원 사회학연구소 객원연구원이자 ‘우산 혁명 3인방’ 중 한 명인 천젠민(陳健民)도 “지금의 홍콩에서는 식당에서 밥을 먹으면서도 공적인 문제들에 대해 함부로 얘기하지 못한다”며 “바로 옆자리에 앉은 누군가가 나를 신고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홍콩보안법은 사실상 중국 공산당이 직접 홍콩을 통치하는 수단”이라며, “당국은 ‘지역사회 돌봄 조직’이라는 이름 아래 감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시민들에게 서로를 감시하게 만드는 ‘칠링 이펙트’를 강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만 측 참가자들은 이번 좌담회를 통해 “홍콩의 사례는 ‘일국양제(一國兩制)’가 허상임을 명백히 드러낸 사건”이라며, 대만이 국제 사회가 홍콩 문제를 주목하게 하는 전진기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만홍콩협회 회장 상푸(桑普)는 “대만은 홍콩의 교훈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를 경고로 받아들여 실질적 대응을 준비해야 한다”며 “단순히 ‘공감’에 머물러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홍콩에서 일어난 일이 대만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는 철저한 현실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만사범대 정치연구소 교수 판스핑(范世平)은 “대만은 이제 세계적인 홍콩 연구 거점이 될 책임이 있다”며 “국가 차원의 전문 싱크탱크를 설립해, 홍콩 문제를 넘어 대만의 미래를 위한 전략적 연구를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럼 참석자들은 “대만은 안보 우려를 고려하되, 더 많은 홍콩인에게 우호적이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며 중국공산당의 패권에 맞서는 최전선으로서 대만의 위치를 재확인하고 국제적 연대를 통한 민주주의 수호 의지를 다짐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