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매시장에 국유기업 소유 아파트 매물 급증…자금 경색 신호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가 허베이성 스자좡에 짓다가 공사를 중단한 한 아파트 단지. 2024년 2월 모습 | 로이터/연합 현금흐름 압박 해소 차원…푸저우·베이징·광저우 등 매물 급증
전문가 “차익 실현 아닌 생존 위한 재고 털기”
중국 각지에서 지방 국유자산운영사가 보유 주택을 대거 매각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베이징·광저우·산둥 등 주요 도시의 자산권 교역소에는 최근 수백 건의 주택 매각 공고가 연달아 등록되고 있다.
부동산 시장이 과거의 ‘자산가치 상승’ 국면에서 빠르게 ‘원금 보전·현금화’ 단계로 전환됐다는 평가와 함께, 지방 공기업의 자금 압박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쓰촨성 시창시 부동산사무센터는 최근 민간 경매업체에 의뢰해 공공분양주택 144가구를 온라인 공개경매에 부칠 계획이다. 당국은 해당 물건을 시중가보다 다소 낮게 책정했다며, 현장 확인과 최대 75% 은행 모기지 대출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푸젠성에서도 매각 움직임이 거세다. 지난 5일 푸젠성 공공자원교역센터(지방정부 온라인 입찰·공매 시스템)에 따르면, 푸저우시 창러구 린항토지주택개발공사는 오는 21일 상품주택 51가구를 공개 경매한다. 평균 단가는 1제곱미터(㎡)당 1만1041위안(약 226만원)으로 주변 시세보다 30~40% 싸게 책정했다.
같은 푸젠성의 푸저우시 토지개발공사 역시 보유 중인 아파트 공실 302가구를 일괄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평균 가격은 1㎡당 약 2만78위안(약 411 만원)으로, 주변 시세 수준에 맞췄다.
베이징에서는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산하 부동산 개발업체인 톈헝(天恒)그룹이 최근 111가구를 매각 물건으로 내놓았다. 물건은 서성·하이뎬·차오양·팡산 등 주요 지역에 분포하며, 매각 시작가는 건당 106만~1397만 위안으로 다양하다. 총 3억3천만 위안(약 676억원) 규모다.
광저우·옌타이·즈보 등지에서도 국유자산운영사들이 다량의 아파트·상가·주차장을 한꺼번에 매물로 내놓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광저우공항건설투자그룹, 광저우지하철그룹 등 여러 지방 국유기업이 여기에 포함됐다.
지방 국유자산운영사들이 앞다퉈 보유 중이던 아파트 매각에 나선 이유에 관해 전문가들은 “자금 압박 해소”를 공통된 이유로 들고 있다.
광둥성주택정책연구센터 리옌자 연구원은 ‘시나재경’과의 인터뷰에서 “일부 공공분양주택은 배정 속도가 더디다 보니 국유 개발기업의 자금이 장기간 묶이는 구조”라며 “자금 압박으로 인해 공매를 통한 현금 회수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리 연구원은 “경기 둔화로 인해 보유 보장임대주택의 수익률은 낮은 반면 운영 비용은 높은 구조여서, 지방 공기업이 재고 자산 처분을 더 서두르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민간 경제 싱크탱크 중국기업자본연맹의 바이원시 부이사장은 “부동산 침체와 지방정부 재정난, 지방정부 융자플랫폼(LGFV)의 부채 축소 압력이 겹치면서 지방 국유자산 분야에서 단기 현금흐름 부족이 급증했다”고 말했다.
그는 “보유 자산 매각은 만기 채무 상환이나 인프라·민생 예산 확보를 위해 가장 빠르게 현금을 마련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시사 매거진 페이펑창(北風窗)도 최근 기사에서 “요즘 가장 거세게 매물을 쏟아내는 주체는 부동산 개발업체가 아니라 지방 국유기업과 LGFV”라고 지적했다.
페이펑창은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와 달리 정부 정책이나 경제 상황에 보다 분석적·비판적 접근을 유지하는 매체다. 대중적 인지도는 높지 않지만 지식인·정책분석가·부동산업계에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페이펑창은 “(지방 국유기업들이) 파는 물건은 건설 중인 신규 프로젝트가 아니라 이미 완공한 아파트”라며 “차익 실현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재고 털기’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