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美, 中 공산당의 달·우주 패권에 맞설 ‘대전략’ 필요”…전문가들 지적

2025년 09월 04일 오후 8:18
2022년 6월 14일 미국 플로리다 주 미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우주센터 39B 발사단지에서 이동식 발사대 위에 세워진 아르테미스Ⅰ 우주발사시스템(SLS)과 오리온(Orion) 우주선 뒤로 보름달이 떠 있다. ⎟ Cory Huston/NASA via AP2022년 6월 14일 미국 플로리다 주 미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우주센터 39B 발사단지에서 이동식 발사대 위에 세워진 아르테미스Ⅰ 우주발사시스템(SLS)과 오리온(Orion) 우주선 뒤로 보름달이 떠 있다. ⎟ Cory Huston/NASA via AP

미국은 새로운 우주 경쟁에서 공산 중국에 패할 위험에 처해 있다고 전문가들이 9월 3일 미 상원 상무·과학·교통위원회에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그러한 이유로 미국과 민간 및 국제 파트너들이 성공을 위한 통합적 대전략과 최적화된 구조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미 우주사령부 부사령관을 지낸 존 E. 쇼 퇴역 중장은 이날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중국 공산당은 지구-달 체계를 대상으로 이미 자체적인 통합 대전략을 실행하고 있으며 민간·상업·국가안보 활동 간 구분은 형식적인 것일 뿐 모두가 공동의 목적을 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쇼 중장은 이날 “왜 의회와 미 항공우주국(NASA)이 중국을 우주 경쟁에서 저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증언대에 섰다.

그는 “우리가 노력을 통합하고 조율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가 지도적 위치에 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점점 더 불리한 처지에 놓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견해에는 제임스 브라이든스타인 전 NASA 국장도 동의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아르테미스 달 탐사 프로그램 운영 방식을 비판하며 해당 프로그램이 아직 달 착륙선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브라이든스타인 전 국장은 증언에서 “선정된 착륙선은 스페이스X의 스타십(Starship)을 변형한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이 착륙선은 궤도상에서 연료를 재보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스타십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어 NASA의 우주비행사들이 발사에 성공한 우주발사시스템(SLS) 로켓을 통해 달 궤도에 도달하면 그곳에서 합류하게 된다는 것이다.

해당 우주비행사들은 록히드마틴이 제작한 오리온(Orion) 캡슐에 탑승하게 되며, 이는 유럽우주국(ESA)을 위해 에어버스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가 제작한 서비스 모듈과 연결된다. 만약 우주비행사들이 달 표면 착륙에 성공한다 해도 귀환용 우주선은 길게 늘어진 달 궤도에 머물러 있어 7일 동안은 도킹할 수 없게 된다.

브라이든스타인 전 국장은 이러한 임무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며, 실제로는 NASA 국장이 선택한 적이 없는 방식이라고 비판했다.

브라이든스타인 전 국장은 “내가 아는 한 NASA의 어떤 국장도 이런 임무 구조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는 전임 행정부 시절 NASA 국장이 부재한 상태에서 내려진 결정이었다. 이는 문제이며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해당 임무를 위한 자재 투자와 개발은 이미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다. 스페이스X는 스타십 시험을 계속하고 있으며 블루오리진은 오는 2026년 봄 우주비행사들을 태우고 달 주위를 도는 아르테미스Ⅱ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NASA는 이미 향후 7차례 아르테미스 임무를 위한 부품 개발에 착수했으며, 아르테미스 게이트웨이 달 궤도 우주정거장의 첫 두 개 모듈은 2027년 말 발사 가능한 일정에 맞춰 준비되고 있다.

쇼 전 중장은 이 문제를 주로 미국의 물류적 문제라고 규정하며, 특히 민간 기업과의 소통에서 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이날 청문회에 참석한 네 명의 전문가 패널 모두는 미국이 우주 탐사 전략을 개선해야 할 시급성을 강조했다. 단순히 다시 달에 착륙하는 국가적 자부심을 넘어 ‘지구-달 체계(Earth-Moon system)’로 불리는 광대한 우주 공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이미 진행 중이며 그 과정에 막대한 경제적·외교적·안보적 이익이 달려 있다는 것이다.

브라이든스타인 전 국장은 “우리가 먼저 나아가 도달하지 못한다면 영토을 잃고, 규칙 제정권을 잃고, 국제 파트너와 경제적 이익까지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정현 기자가 이 기사의 번역 및 정리에 기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