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독감에 효과 미흡”…미 보건복지부, mRNA 백신 개발 계약 무더기 취소

모더나, 화이자 등 포함…총 22건, 5억 달러 규모
아낀 예산은 전통적 방식의 백신 제조 등에 투자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총 5억 달러에 달하는 mRNA 백신 개발 계약 22건을 전면 취소하고,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플랫폼으로 예산을 재배치하기로 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은 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mRNA 백신이 코로나19나 독감과 같은 상기도 감염 예방에 충분한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는 데이터가 확인됐다”며 이 같은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 기간 중 추진된 mRNA 관련 투자 전반에 대한 재검토 결과에 따른 것으로, 해당 사업은 미 보건복지부 산하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ARDA)이 주도하고 민간 투자기구인 글로벌보건투자공사(GHIC)가 관리해 왔다.
케네디 장관은 “우리는 과학을 검토했고, 전문가의 조언을 들었으며, 행동에 나섰다”며 “변이에도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더 안전하고 광범위한 백신 플랫폼에 자금을 재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mRNA 백신이 안전성이 떨어지는 반면, 목표로 하는 바이러스가 변이할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더나와 텍사스대 의학전문대학(UTMB)이 추진하던 mRNA 기반 조류독감(H5N1) 백신 개발 계약이 취소됐고 명문 의대인 에모리대와 티바(Tiba) 바이오텍과의 계약 역시 종료된다. 화이자, 사노피 파스퇴르(Sanofi Pasteur), 씨에스엘 시퀴러스(CSL Seqirus), 그릿스톤(Gritstone) 등 다수 기업이 제출한 사전 제안서도 취소되거나 채택되지 않을 예정이다.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이 국방부와 공동 진행 중인 핵산 기반 백신 프로젝트 역시 조정 대상에 포함됐다. AAHI, 아스트라제네카, HDT 바이오 등과의 협력은 재구성되며, mRNA 관련 기존 계약 3건의 범위도 축소된다.
보건복지부는 별도 성명에서 “일부 최종 단계 계약은 계속 진행될 수 있지만, mRNA 기반의 신규 백신 개발 프로젝트는 추가로 추진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치가 연방정부 백신 개발 전략의 방향 전환을 의미한다면서, 앞으로는 임상 및 제조 데이터 투명성이 확보되고 안전성이 입증된 백신 플랫폼을 중심으로 투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케네디 장관 역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을 원하는 모든 미국인을 위해 최선의 솔루션을 찾아야 한다”며 “우리는 mRNA의 한계를 넘어, 더 나은 기술에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도자료에서 “비상 상황에서 지원된 기술 중 현재의 과학적 기준에 미달하는 것들은 점진적으로 퇴출되고, 전통적인 ‘전(全) 바이러스 백신’이나 새로운 플랫폼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 바이러스 백신은 바이러스 입자를 불활성화한 뒤, 그 전체 구조를 포함한 형태로 사용되는 백신이다.
케네디 장관은 올해 초 취임 이후 백신 정책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해 왔다. 지난 5월 말 미 식품의약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자를 고위험군인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FDA는 백신 제조사들이 아동과 청년층에 대한 안전성 및 효능 연구를 자체 진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보건복지부는 인적 쇄신도 단행했다. 백신 제조사와 이해관계 논란이 일부 제기됐던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백신 자문위원 17명을 전원 해임했다. 임산부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도 된다는 권고안도 철회했다. 인플루엔자 백신에서 수은 성분을 제거하라는 지침도 발표했다.
이달 1일에는 의료기관이 직원 백신 접종률을 보고할 경우 인센티브를 부여하던 정책도 공식 폐지됐다. 이는 병원이 직원들의 백신 접종률을 성실히 보고하면 정부 보조금을 더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였으나, 일각에서는 이 제도가 의료기관에 직원들의 백신 접종을 유도하는 압박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비판해 왔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