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2 통상 협의’ 전격 연기…美 재무장관 ‘긴급 일정’ 이유

한미 간 고율 관세 유예 종료 시한(8월 1일)을 앞두고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예정됐던 ‘2+2 통상 협의’가 돌연 연기됐다. 미국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 일정을 사유로 들었으며, 한국 측은 출국 직전에 이 사실을 통보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오전 “25일 개최 예정이던 한미 2+2 통상 협의가 베선트 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협의에는 한국 측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측에서는 베선트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할 예정이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을 앞두고 미국 측의 일방적 연기 통보를 받았다. 기재부에 따르면 통보 시각은 출국 약 1시간 전인 오전 9시경으로, 미국 측은 사과의 뜻을 여러 차례 전하며 “가능한 빠른 시일 내 재개최”를 제안했다.
현재 미국을 방문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본부장은 계획대로 미국 측 파트너들과의 개별 협의를 진행 중이다. 김 장관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여 본부장은 그리어 대표와 각각 만나 관련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일각에선 베선트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25~29일)에 동행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번 협의 연기로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일 전까지 고위급 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세가 예정대로 시행되면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한국 주요 수출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