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中, 트럼프의 관세 경고 이후 “對러 지원 강화” 약속

2025년 07월 17일 오후 5:03
2018년 4월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 참석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왼쪽).│Naohiko Hatta-Pool/Getty Images2018년 4월 2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 참석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왼쪽).│Naohiko Hatta-Pool/Getty Images

중국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7월 15일(이하 현지시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회담에서 베이징이 모스크바와의 관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러시아 외무부 성명에 따르면 시진핑은 베이징과 모스크바 간의 포괄적 전략 협력 동반자 관계를 재확인하고 다자 플랫폼에서 상호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월 14일 크렘린이 50일 내에 우크라이나와의 평화협정에 동의하지 않으면 러시아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라브로프는 톈진에서 열린 제25차 상하이협력기구 외무장관 회의를 위해 중국을 방문 중이며, 여기서 인도, 파키스탄, 이란의 외무장관들과도 별도로 대화를 나눴다.

러시아 외무부는 “라브로프와 수브라마니암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장관이 모든 수준에서 특별하고 특권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인도 외무부는 자국 웹사이트에 이 회담을 공개하지 않았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유럽연합(EU)은 러시아 석유 제품 수입을 금지했다. 핀란드에 본부를 둔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가 7월 11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이후 러시아 에너지의 최대 구매국은 중국, 인도, 터키였다.

2022년 12월 금수조치 시작부터 2025년 6월 말까지 중국과 인도는 각각 러시아 원유 수출의 47%와 38%를 구매했다. 같은 기간 동안 터키와 중국은 각각 러시아 정제유 제품 수출의 26%와 13%를 구매했다고 이 보고서는 밝혔다.

EU는 7월 15일, 18차 러시아 제재 패키지 승인에 실패했다.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는 슬로바키아가 이견을 보이고 있으며 7월 16일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2차 제재

7월 14일 마크 루테 NATO 사무총장과의 회담에서 트럼프는 크렘린에 50일의 평화협정 마감시한을 제시하고 2차 관세를 경고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가 러시아 상품에 대한 100% 관세와 러시아 수출품을 구매하는 다른 국가들에 대한 2차 제재를 언급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 상원의원 100명 중 85명이 트럼프에게 러시아를 돕는 모든 국가에 500% 관세를 부과할 권한을 부여하는 법안을 공동 발의했다. 상원 공화당 지도부는 트럼프가 투표에 대해 동의해 주기를 기다리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텔레그램에서 트럼프와 대화했다며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살상을 중단하며 지속적이고 정의로운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계속 협력하겠다는 그의 의지에 감사했다”고 말했다.

50일 유예 기간 발표로 즉각적인 공급 중단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7월 15일 유가는 약 1% 하락했다.

트럼프의 경고에 대해 라브로프는 트럼프가 왜 50일 마감시한을 제시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라브로프는 “예전에는 24시간이었고, 100일이었다. 우리는 모두 이런 일을 겪었다. 그리고 우리는 미국 대통령이 도대체 왜 그러는지 정말로 알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전례 없이 많은 제재에 대처해 왔으며 새로운 제재에도 대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린지엔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베이징이 “대화와 협상이 우크라이나 위기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7월 초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칼라스에게 미국이 중국을 집중적인 표적으로 삼을 것을 우려해 중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패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왕이는 중국이 러시아의 군수산업을 지탱하는 실질적 지원을 제공했다는 EU의 비난을 부인했다고 전해졌다.

미국과 유럽 정보기관들은 오랫동안 중국 민간 기업들이 러시아에 무기 부품을 밀수출하는 것을 중국 정부가 허용하고 있다고 비난해 왔다.

2월 칼라스는 중국 정부를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 전쟁의 핵심 조력자”라고 부르며, 이러한 지원이 “EU-중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녀는 EU가 중국과 홍콩의 33개 단체를 제재했다며,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 사용하는, 제재 대상인 이중용도 및 첨단기술 부품을 이 단체들이 러시아에 수출한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에 수출된 부품 중에선 EU산도 있었다.

2024년 10월 미국은 중국 기업 두 곳이 러시아 기업들과 협력해 무기 시스템의 개발과 제조를 담당했다며 제재를 가했다.

5월 우크라이나는 중국이 최소 20개의 러시아 무기 공장에 공작기계, 특수 화학물질, 화약, 드론 전자장치를 공급하고 있다는 정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강덕 기자가 이 기사의 번역 및 정리에 기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