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대의’ 옹호한다던 나이키…왜 中공산당 비위 맞추나?

FAN YU
2019년 07월 10일 오후 2:11 업데이트: 2019년 11월 12일 오후 2:16
P

최근 미국 거대 스포츠 의류기업 나이키가 중국에서 하려던 한정판 운동화 라인 출시 계획을 취소했다. 이는 나이키 일본 디자이너가 홍콩 시위를 지지한 데 따른 조치로 보인다.

일본 스트리트웨어 브랜드 언더커버의 디자이너 다카하시 준은 최근 ‘중국 송환, 안 돼’라는 슬로건과 함께 홍콩 시위대의 사진을 언더커버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렸다.

이와 관련해 나이키는 지난달 ‘중국 소비자들의 반응’을 거론하며 다카하시의 운동화 중국 유통라인 출시를 취소하고 언더커버와 콜라보로 개발한 모든 제품을 수거했다. 나이키는 ‘소비자’의 항의를 받았다고 하지만, 중국 공산당의 소행임이 거의 확실해 보인다. 중국 공산당은 홍콩 주민들의 ‘범죄인 인도법’ 반대를 격렬히 성토한다.

얼핏 보면 나이키에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이익에만 초점을 맞추는 무자비한 기업’이라는 낙인을 찍기 쉽다.

그러나 나이키는 실제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공유하는, 사회적 의식이 있는 브랜드로 자사 기업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전 NFL 축구 스타 콜린 케이퍼닉은 나이키 홍보대사다. 뉴욕타임스 보도가 인용한 케이퍼닉의 말에 따르면, 나이키는 지난주 초창기 성조기 ‘벳시 로스기(betsy ross flag)’가 그려진 운동화를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 성조기 디자인이 ‘인종차별적 이데올로기 지지 단체들이 채택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벳시 로스 성조기가 반(反)명예훼손연맹이 인정한 ‘증오 심볼’ 목록에 없어도, 나이키는 케이퍼닉의 말을 따르는 게 사려 깊은 태도로 판단했다.

반(反)인종차별주의의 상징인 나이키와 케이퍼닉은 2018년 광고 캠페인에서 “무언가를 믿어라. 그것에 모든 것을 거는 한이 있더라도”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나이키는 다카하시 행위를 지지하지 않고, 전제적이고 권위주의 정권에 항거하는 홍콩 시민들을 외면함으로써 회사의 방향성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따라서 ‘사회적 대의를 옹호하는 기업’으로 마케팅하는 나이키의 노력은 물거품이 될 것이다.

나이키는 종교인들을 잔인하게 탄압하고, ‘일국양제’를 뒤엎고, 남중국해 긴장을 조성하고 , 노골적으로 지적재산을 탈취하고, 국제 규범을 어기고 통화를 조작하는 중국 공산당 체제를 암묵적으로 지지하면서, 어떻게 ‘사회적 대의의 챔피언’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케퍼닉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리고 나이키의 이미지에 기여한 엘리트 운동선수와 브랜드 홍보대사들은 ‘사회적 책임’ 정신을 헐값에 팔아 버린 회사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이키는 분명 폭압적인 정권을 지지하지 않으려 이사회에서 뜨거운 논쟁을 거쳤을 수 있다. 그리고 회사 측에서 보면 그들의 사회적 명분, 이익 추구라는 기업의 원칙을 지키는 게 훨씬 쉬웠을 것이다.

중국 공산당과 공개적 대치는 분명 위험한 일이다. 나이키는 무역전쟁 와중에도 판매 호조를 보인 몇 안 되는 기업 중 하나다. 전 세계적으로 판매 증가율이 부진해도 나이키의 중국 매출은 2018년 4분기 거의 20% 증가한 16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시기 GM과 애플 등 다른 외국 기업의 중국 매출은 저조했다.

중국 공산당은 정치, 경제, 기술 분야에서 불한당 노릇을 하고 있다. 최근 중국 당국은 보안 검문검색을 하면서, 심지어 아무 혐의없는 사람들에게도 스마트폰에 기밀 데이터를 수집하는 앱과 멀웨어를 강제로 설치해왔다는 보도가 나왔다.

현재 중국 공산당의 비상식적 행위는 세계 무대에서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 기업들도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변곡점에 이르렀다.

서방 기업들은 중국 공산당의 조치에 개인적으론 항의해도 공개적으로는 두려워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더 중시되면서 기업의 사명을 표명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전쟁으로 중공 정권을 강하게 압박하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서구 개개인의 기업은 인구가 세계에서 가장 많고 세계 2위 경제 대국에 비해 무력하거나 취약해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미국 행정부 지원하에 같은 생각을 가진 서구 기업들이 협력한다면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권한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시점에서 기업인은 이익 창출과 사회적 책임 두가지 모두 균형있게 조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