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제조업계 ‘감산·감봉’ 확산…美와의 무역전쟁에 고용 부진 심화

미중 무역협상에도 불투명한 전망에 비관론 확산
로이터 “인건비 감축, 소비 악화 악순환”
중국 수출기업들의 불확실성과 비관적 전망 속 중국 수출기업들이 공장 가동을 줄이고 근로자 임금을 인하하는 사례가 확산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90일 유예하는 등 미·중 간 무역 협상이 이어지고 있지만, 무역전쟁이 불러온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고용 부진이 중국의 디플레이션을 심화시키고 경기 성장에 추가 부담을 줄 것이라고 경고한다.
로이터통신은 12일(현지시간) 다수의 중국 수출업체 대표, 헤드헌터, 구직자를 인터뷰한 결과 “중국 전역에서 ‘고용 불충분(underemployment)’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여러 제조업체들이 미국발 관세 인상 우려와 생산능력 과잉으로 대규모 감산과 임금 삭감을 단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광둥성 포산(佛山)의 사업가 차이(柴)모씨(53)는 “미국의 고율 관세 탓에 기존 미국 고객 물량을 호주로 돌리다 보니 호주의 장기 거래처 일부를 잃었다”며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어쩔 수 없이 근로자 근무시간을 줄이고 무급휴가를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주방가구 공장의 인건비를 30% 절감할 계획이라며 “이런 상황은 중국에서 매우 흔하다. 그래도 겨우 손익분기점을 맞출 뿐”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직원들에게) 공장 문 닫는 걸 원하지 않지 않느냐”며 “10∼15년 함께 일한 만큼 같이 버텨보자”고 설득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남부에서 3개 공장을 운영하는 팡(方)모씨는 “한 공장에서 정규직 30명을 해고하고 주문이 있을 때만 일용직을 써서 일당이나 시급을 지급한다”며 “이렇게 하면 연금이나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돼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소비 위축과 미·중 무역전쟁이 겹치면서 시장이 침체됐다”고 분석했다.
후베이성 우한의 헤드헌터인 천추옌(陳楚燕)은 “일용직 시급이 작년 시간당 16위안(약 3천원)에서 올해 14위안(약 2700원)으로 떨어졌다”며 “매일 긴 줄이 면접을 기다리지만 공장의 일자리 수요는 많지 않다”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일자리를 찾는 실직자들의 상황도 전했다. 농민공부터 디지털 마케팅 전공자 등 다양한 사람들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구직이 어렵고 임금도 생활비를 감당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호소했다.
일부 업체들은 ‘정착비’ 명목으로 구직자에게 비용을 선납하도록 요구하기도 했다. 한 구직자는 “시급 23위안(약 4400원) 준다더니 실제로는 20위안(약 3800원)을 주고, 거기서 관리비·숙소비·청소비 등 온갖 명목으로 공제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관세 인상과 산업 생산능력 과잉이 맞물리며 고용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프랑스 외환은행의 알리시아 가르시아 에레로 수석 아시아태평양 경제학자는 “중국 제조업 노동자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지만, 공식 통계에는 실직이 아니라 근로시간 감소나 무급휴가로 잡히지 않는다”며 “저가 경쟁 구조가 노동자 소득을 줄이고 소비 여력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품이 팔리지 않아 공장은 인건비를 줄이고, 다시 소비가 위축되는 구조”라며 “너무나 비정상적인 사이클”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