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청원 한국서도 전개…중국의 강제 장기적출 중단 촉구

‘G7+7 청원운동’ 전개… 14개국 정부에 공동 행동 촉구
“한국, 윤리적 책임 다할 기회”
국내외 인권단체들이 중국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강제 장기적출 범죄를 규탄하며, G7을 비롯한 주요 14개국 정부에 즉각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국제 청원운동을 전개 중이다.
이번 청원은 양심수, 특히 파룬궁 수련자, 위구르인, 티베트인, 기독교인 등을 대상으로 한 반인도적 인권 침해를 중단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을 목표로 한다.
수년간의 독립 조사와 유엔 및 유럽의회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파룬궁 수련자와 위구르인을 대상으로 한 강제 장기적출이 조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0년 영국의 독립 민간 법정인 ‘중국재판소(China Tribunal)’는 “파룬궁 수련자들이 장기 공급의 주요 원천”이라며 해당 행위가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 이어 2021년 유엔 특별보고관, 2022년 유럽의회도 이 문제가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에는 미국 연방하원이 2025년 5월 5일, 파룬궁 수련자 탄압을 중단시키기 위한 ‘파룬궁 보호법안(H.R.1540)’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며 국제적 대응에 힘을 보탰다.
국제 인권단체들은 특히 중국을 방문해 장기 이식 수술을 받는 외국인 환자들이 본의 아니게 이 범죄에 연루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 의료기관과 연구자들도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협력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은 중국 장기이식 산업의 주요 고객국으로 지목되며, 국제사회는 한국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청원운동은 ‘강제 장기적출에 반대하는 의사들(DAFOH)’, ‘중국 내 이식 학대 종식을 위한 국제 연합(ETAC)’, ‘한국장기이식윤리협회(KAEOT)’ 등 20개 이상의 인권단체가 공동 주도하고 있다. 청원은 G7 국가(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와 함께 한국, 호주, 인도, 이스라엘, 멕시코, 대만, 아르헨티나 정부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요청하고 있다.
-공동 선언문 발표: 중국의 강제 장기적출을 규탄하고, 즉각 중단을 촉구.
-시민 보호 조치: 시민들이 강제 장기적출에 연루되지 않도록 정보 제공 및 보호.
-교류 중단: 독립 조사로 범죄 중단이 확인될 때까지 중국과의 이식 관련 진료, 연구, 교육 교류 중단.
-연례 청문회 개최: 강제 장기적출 관련 의회 청문회를 열고, 전문가 증언을 포함한 보고서 발간.
-집단학살 조사 착수: 파룬궁 수련자, 위구르족 등을 대상으로 한 집단학살 혐의에 대한 국제 조사 착수.
한국장기이식윤리협회 관계자는 “한국이 중국 장기이식의 주요 고객국으로 지목된 상황에서, 이번 청원은 한국의 윤리적 책임과 양심을 보여줄 기회”라고 강조했다. 아시아법학생연합(ALSA) 등 국내 단체도 이번 청원에 동참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이번 청원은 온라인(fohpetition.org/ko)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서명 캠페인도 병행되고 있다. 관계자들은 2025년 6월 예정된 G7 정상회의에서 해당 문제가 공식 의제로 채택되도록 여론을 모으는 것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한 사람의 서명이 수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강력한 메시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인권단체들은 이렇게 덧붙이며, 시민 개개인의 참여가 전 세계 인권 개선에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