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민정수석 부활…‘검찰 출신’ 김주현 전 법무차관 임명

윤석열 대통령이 민정수석실 복원을 공식화했다.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 대통령은 김주현 전 법무부 차관을 민정수석에 임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자신의 대선 공약을 번복하고 민정수석실을 다시 설치한 이유에 대해 “국민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민정수석실의 부재로) 아무래도 민심 청취 기능이 너무 취약해서 그동안 취임한 이후부터 언론 사설부터 주변의 조언이나 이런 것들을 많이 받았다”며 “‘모든 정권에서 다 둔 기능이 다 이유가 있어서 하는 건데, 이 민정 업무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고 해서 저도 고심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김대중 대통령도 역기능을 우려해서 법무비서관실만 두셨다가 결국은 취임 2년 만에 다시 민정수석실을 복원을 하셨다”며 “저도 민정수석실을 복원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을 했다”고 했다.
또 “지난번에 이재명 대표와 회담할 때도 야당 대표단이 민심 청취 기능에 대한 지적을 했다. (야당은) ‘대통령 참모들이 일선의 민심이 대통령에게 잘 전달이 안 되는 거 같다’고 (말해서) 저도 민정수석실 복원을 얘기한 바 있다”고 부연했다.
대검찰청 차장검사 출신인 김 민정수석을 가리키면서는 “민심 정보라고 하지만 결국은 정보를 수집하고 다루는 일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정보를 다루는 부서는 꼭 법률가가 지휘를 하면서 정부 자체가 법치주의 테두리 안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그렇기 때문에 과거 역대 정권에서도 법률가 출신들이, 대부분 검사 출신들이 민정수석을 맡아온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수석은 “앞으로 가감 없이 민심을 청취해 국정 운영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그동안 민정수석실을 쭉 역대 정부에서 운영해 왔는데, 민심 청취 기능이 부족하다는 말씀들과 지적들이 있었다. 각 정책현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국민들의 불편함이나 문제점이 있다면 국정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어 “없던 민정비서관실을 새롭게 만들어서 주로 민심을 청취하는 기능을 하게 되겠다”며 “민정비서관실에서 (수사 정보 등을) 어떻게 운영해 나갈 것인지 하는 것들은 차차 검토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