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분쟁 지역은 다 우리 땅”…인도·말레이시아·필리핀 ‘항의’

중국이 국경·영유권 분쟁 지역을 자국 영토로 표기한 지도를 공개하자 인도·말레이시아·필리핀이 잇따라 항의하고 나섰다.
중국 국무원 천연자원부는 지난 28일 ‘규범화된 지도를 사용함에 한 점 착오도 없어야 한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이른바 ‘2023년 표준지도’를 발표했다. 중국은 지도에 대만, 남해 9단선 범위 내의 지역, 인도와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티베트 남부 지역, 러시아와 중국이 절반씩 관할하고 있는 지역을 모두 중국 영토로 표시했다.
남해 9단선은 중국이 남중국해 주변을 따라 그은 아홉 개의 직선이다. 중국은 1940년대부터 이곳의 90%를 자국 영해라고 주장하며 인공섬을 만들고 군사시설을 배치해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 주변국과 갈등을 빚어 왔다.
필리핀 외교부는 31일 “중국은 최근 공개한 지도를 통해 또다시 필리핀 영토와 해역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했다”며 “이는 국제법, 특히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UNCLOS)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말레이시아 외교부도 전날 성명을 내 “중국이 ‘2023년 표준지도’에 표시한 ‘남중국해상의 중국 영해’ 범위에는 말레이시아 해역이 포함돼 있다. 말레이시아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국이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주(Borneo), 사바주(Sabah), 사라왁주(Sarawak)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을 자국 영유권 범위로 표시한 것에 대해 항의한 것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남중국해의 상황은 복잡하고 민감하기 때문에 국제법 원칙에 근거한 평화롭고 합리적인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말레이시아는 남중국해 행동 규범을 개발하는 것을 찬성하며 동남아 국가들은 협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인도 외교부도 지난 29일 성명을 내 “이러한 근거 없는 주장을 거부한다. 중국의 이 같은 일방적인 행동은 국경 문제 해결을 복잡하게 만들 뿐”이라고 비판했다.
중국은 또 지도에 대만을 ‘대만성(省)’이로 표시했는데, 대만 외교부는 이 같은 중국의 주장을 반박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보도했다. 대만 외교부는 신문에 “대만은 독립 주권 국가이며 중국 당국은 대만을 통치한 적이 없다. 이는 국제 사회가 인정하는 사실이며 중국 당국이 어떤 주장을 펼쳐도 이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