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고위층, 中공산당 대사관과 정례 만남…‘친중공 보도’ 논의”

트럼프가 지명한 VOA 특별고문 케리 레이크, 인터뷰서 밝혀
“일부는 중국 방문 회동까지…친중공 선전 확산”
미국 관영 매체 미국의소리(VOA)가 중국공산당 간부들과 정례적인 모임을 갖고 ‘친중공 보도’를 논의해 왔음이 드러났다.
미 국제미디어국(USAGM)의 수석고문 캐리 레이크는 23일(현지 시각) ‘저스트 더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부 조사 결과 사실로 확인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레이크 고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인사다.
레이크 고문은 “워싱턴 DC에 있는 중국공산당 대사관 측이 VOA 경영진과 정기적으로 접촉하며 ‘중국 보도는 이렇게 해야 한다’는 식의 지시를 내리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믿기 어려울 정도의 상황이지만 이러한 접촉이 수년간 더욱 대담해지고 조직적으로 전개됐다”며 “일부 VOA 임원들은 직접 중국 본토를 방문해 중국 관리들과 회동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했다.
‘중국 방문’은 중국공산당이 해외 유력 인사를 포섭하는 주요 수단의 하나다. 여행 경비를 전액 제공한다며 초청해, 중국 내 사업 기회 등 막대한 이권을 제안하거나 미인계에 빠뜨려 약점을 잡고 정보원으로 활동하도록 협박하기도 한다.
실제로 2004년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관의 40대 직원은 노래방에서 만나 사귄 중국 여성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으나 이는 함정이었다. 중국공산당 정보기관의 집요한 정보 제공 요구에 시달리던 그는 “(이러다가) 일본을 배신하게 될 것 같다”는 유서를 남긴 채 자살했다.
VOA, 중국공산당 관영매체 출신도 기자로 채용
레이크 고문은 VOA가 과거 중국공산당 관영 매체와 연계된 중국 국적 인사들을 다수 채용했고, ‘J-1’ 문화교류 비자 프로그램을 통해 400명 이상의 외국 언론인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채용한 사실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 가운데 약 100명은 미국에 잠재적 안보 위협이 될 수 있는 국가 출신이었으며, 최소 3명은 중국공산당 통제하에 운영되는 관영매체 출신이었다.
레이크 고문은 “미국의 납세자 세금으로 미국의 목소리를 전하라는 본래 목적과 달리, 이 기관(VOA)은 수백 명의 외국인 기자를 고용해 ‘친중공 선전(pro-CCP propaganda)’을 확산시키는 매체로 전락했다”며 “이는 명백하게 미국의 이익을 해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중국(China)’과 ‘중국공산당(CCP)’을 명확히 구분했다. VOA와 만난 이들이 공산당 외교관이며, 그들이 요구한 보도가 ‘친중공 선전’이라고 밝혔다.
미국 J-1 비자는 교환방문비자로 미 국무부 승인을 받은 교육·문화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외국인에게 발급된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교육·문화 교류 채널을 악용하는 중국공산당의 무차별 침투 공작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레이크 고문은 J‑1 비자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선언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국제미디어국과 VOA 등 산하 매체 인력을 단기간에 85% 축소하고, 궁극적으로 두 기관을 완전 폐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앞서 이달 2일 열린 미 하원 외교위원회 공청회에서 레이크 고문은 질의응답 중 국제미디어국과 산하 VOA 등이 “기능을 상실했으며 개혁이 불가능할 정도로 부패했다”며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답변한 바 있다.
한편, 레이크 고문은 우파 매체인 원아메리카뉴스네트워크(OANN)와 콘텐츠 협약을 맺고 이를 VOA 등에 무료로 제공하도록 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두고 미 정치권에서는 미국 관영매체 보도가 보수 성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