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장관 후보자 “재생에너지만으론 부족…원전과 조합해야”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0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앞으로의 에너지 정책은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적절히 섞는 방향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에 동조했던 김 후보자는 이날 “탈원전 정책을 고수하지 않겠다”며 기존 입장과의 선긋기에 나섰다.
김 후보자는 “재생에너지는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한 수단이지만, 간헐성이라는 한계가 있다”며 “원전 역시 안전성 문제를 안고 있으나, 이 두 에너지원을 보완적으로 활용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노원구청장 재임 시절 “탈원전이 대세”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전 세계가 충격을 받았던 시점이었다”고 해명하며, “당시 독일 메르켈 총리도 원전 재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정부와 현재의 에너지정책 차이에 대해서는 “과거 정부는 설계수명이 끝난 원전의 가동을 중단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안전이 확보된다면 계속 운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전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윤석열 정부는 원전 비중 확대를 강조하면서도 석탄이나 LNG 발전 비중은 줄이지 않았다”며 “원전 확대와 함께 재생에너지도 같이 키워야 했다”고 지적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와 관련해서는 “우리나라 온실가스의 약 25%가 철강·석유화학 업종에서 배출된다”며 “이 부문 감축 없이는 2030 NDC 달성이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비중이 아직도 낮은 수준”이라며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정부가 수립 중인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해서는 “그동안 목표는 환경부가 세우고, 이행은 산업부가 맡는 구조였지만, 이재명 정부는 이를 유기적으로 통합하려 한다”고 밝혔다. 그는 “기후에너지부가 목표 수립과 이행을 동시에 맡아 실행력을 높이겠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