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이하 판매 강요 멈춰달라” 中 자동차 딜러 협회 공동서한

출혈 경쟁의 장기화로 생존 위기에 몰린 중국 자동차 유통업계가 질서 회복을 요구하는 집단 행동에 나섰다.
상하이, 장쑤, 저장, 안후이 등 장강삼각주 4개 지역의 자동차 딜러협회는 제조사를 상대로 손해를 보면서 판매하도록 강요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공동서한을 발표했다.
이들 협회는 지난 30일 자로 발표한 공동서한에서 “장강삼각주 지역 딜러사들이 도산 위기에 처해 있다”며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손해를 감수한 판매를 강요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주요 경제권인 장강삼각주는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4분의 1을 차지할 만큼 핵심 시장이다.
그러나 서한에 따르면 현재 이 지역 딜러사들은 재고 부담이 한계선을 넘고 현금 유입이 끊긴 데다 판매가 급감하면서 비용과 실적에서의 압박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서한은 특히 “제조사의 지속적인 ‘재고 밀어내기’와 차량 가격 역전 현상이 심각하다”며 일부 차종은 출고가가 시중 판매가보다 높아 딜러사들이 차량 한 대를 팔 때마다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최근 은행들이 장강삼각주 지역에서 자동차 할부 대출을 잇달아 중단한 것도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대출이 막힌 소비자들의 주문 취소가 속출하자, 금융사들은 자동차 할부 대출 건당 제공하던 수수료를 최대 11% 삭감해 딜러사들의 손실폭이 커진 것이다.
경기 침체 속에 소비자들의 구매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일일 방문 고객 수도 급감했고, 실제 구매 전환율은 30% 이상 떨어졌다고 딜러사들은 밝혔다.
이어 시장 질서 붕괴를 바로잡기 위한 긴급 개선 사항으로 ▲판매 목표를 일률적으로 강제하지 말고 지역 시장 규모에 따라 유연하게 배분할 것 ▲딜러가 자체적으로 재고 한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것 ▲강제 옵션 판매나 불합리한 부품 외매 평가 등 비합리적인 실적 기준을 폐지할 것 등을 요구했다.
또한 신차뿐만 아니라 비인기 재고 차량 처분을 위한 보조금 또는 금융 할인 프로그램 방안 마련도 촉구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은 한때 정부 주도로 급격한 팽창을 겪었지만, 경기 둔화와 과잉 경쟁 속에서 빠르게 ‘도태 경쟁’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