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원, 中공산당 위협 맞설 ‘대중 전략위’ 설립 추진

“중국의 위협, 장기적·포괄적 대책 필요”
여야 의원 15명 초당파적 협력…軍도 지지
미국 연방상원 의원들이 중국공산당(중공) 정권의 경제·안보·외교 분야 위협에 맞설 ‘대(對)중국 전략위원회(가칭)’ 설립 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연방정부 전반에 걸쳐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하자는 취지다. 단기적·개별적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현실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법안은 무소속 앵거스 킹 상원의원과 공화당 존 코닌 의원, 민주당 팀 케인 의원 등 3인이 발의했으며, 이들 외에 민주당 7명, 공화당 5명 등 12명의 여야 상원의들 역시 이 법안을 지지하고 있다.
의원들은 이 법안을 내년 미 국방수권법 개정안에 추가로 상정할 계획이다.
킹 의원은 성명을 통해 “장기적 전략 없이 현재와 같은 임시방편식 대중국 정책만으로 중국에 대응할 수 없다”고 법안 발의 배경을 밝혔다.
또한 킹 의원은 “세계는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 경제, 동맹,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미국은 거의 모든 부문에서 점점 더 공격적으로 전개되는 중국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법안에 따르면 대중 전략위는 연방정부와 의회는 물론 미국 기업에서 파견한 총 18명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중국 정부의 지식재산 침해와 부당한 경쟁에 시달리는 미국 기업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다.
킹 의원은 “대중 전략위의 임무는 미국 국가안보를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해 연방정부 전반에 걸쳐 작동하는 방대하고 대담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실행 가능한 권고안’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권고안은 ▲모든 연방정부 기관에 통합적 대중 접근법 제공 ▲안정적 국제 질서 유지에 필요한 중국의 단계적 참여 정의 ▲미중 관계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시 등을 구체적 목표로 삼고 있다.
즉, 중국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면서도 미국의 국가안보와 국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접근을 취하겠다는 것이다.
자유주의냐 사회주의냐 기로에 선 세계
법안 발의자 중 한 명인 코닌 의원은 중국공산당이 전 세계를 사회주의 체제로 만들려는 야심에 따라 미국의 경제와 국가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중국의 위협에 맞서는 것은 우리 세대의 최대 안보 과제”라며 “전략적이고 전면적인 접근법만이 진전을 이룰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법안 발의자인 케인 의원 역시 “지난 몇 년간 미중 관계는 거의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며 전면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에 동의했다.
이어 “대중 전략위는 미중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전략을 수립해 미국의 글로벌 리더로서 지위 유지라는 과제 달성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법안의 주요 발의자인 킹 의원은 미국의 국가안보에 큰 관심을 보이며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그는 미 연방의회 산하 ‘사이버공간 솔라리움(Solarium) 위원회’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데, 이 위원회는 사이버공간에서의 국가안보 개선을 위해 정부기관에 권고안을 제시하고 있다.
위원회에 따르면 권고안 10개 중 8개 이상이 채택됐을 정도로 높은 효율성을 보이고 있다. 대중 전략위 역시 이 위원회와 비슷하게 운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중 전략위 법안은 미군 수뇌부에게서도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미군 아프리카사령부 스티븐 타운센드 사령관, 북부사령부·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글렌 반 허크 사령관, 해병대 데이비드 버거 사령관이 법안을 지지했다.
또한 차기 아프리카사령부 사령관 지명자 마이클 랭글리, 특수작전사령부 사령관 지명자 브라이언 펜턴 역시 법안을 지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 이 기사는 메리 훙 기자가 기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