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정직’해서 차는 못 팔아도 ‘정비’만큼은 최고라는 ’43년 경력’의 중고차 달인
"이분이 처음엔 되게 웃기더라고요. 여기 고장 났고 저기 고장 났다고 다 솔직하게 말해주더라고요." 인천 '정재 자동차 공업소'를 운영하는 이용덕 씨의 고객이 전한 말이다. 이 씨는 최근 '인천 43년 중고차'로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며…북한 축구스타 ‘北날두’ 한광성, 유벤투스와 계약
북한의 ‘호날두’로 불리는 한광성(21)이 진짜 호날두와 한솥밥을 먹게 됐다. 2017-2018시즌 이탈리아 세리에 B(2부리그)에서 7골, 2018~2019시즌 11골을 넣으며 주목을 받은 한광성. 올해 초 세리에A 유벤투스뿐만 아니라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아스널, 에버턴이 그를 지켜봤고 손흥민이…사회주의 중국이 쉬쉬하는 청년 실업률, 미중 무역전쟁 또 다른 변수되나?
중국 언론이 자국 정부의 일자리 관련 정책을 연일 보도하며 성난 청년 실업자 달래기에 나섰다. 주된 대상은 대학 졸업(예정)자들이다. 이와 관련, 미중 무역전쟁 여파가 실업률과 경기침체를 악화시켜 청년층을 중심으로 정권에 대한 반발을 확대시킬…14년 만에 달라지는 번호판, 9월 1일부터 8자리 도입
9월 1일 부로 새로 등록하는 차량의 번호판이 8자리 숫자로 바뀐다. 2005년 초록색 번호판에서 흰색 번호판으로 바뀐 지 14년 만에 또 한 번의 큰 변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기존 7자리 숫자 번호판으로는 약 2320만…혹사당하다가 돌고래쇼 공연 도중 목숨 잃은 ‘생후 9일’ 돌고래
태어난 지 고작 9일 된 새끼 돌고래가 워터파크 공연 도중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현장을 목격한 관객들은 큰 충격에 빠졌고, "혹사당하던 새끼 돌고래가 과로사했다"라는 비난의 여론이 쏟아졌다. 지난 29일 영국 일간…“구조해줘서 정말 감사해요” 산악구조대에 ‘깜짝 후원금’ 전달한 조은누리양
실종 열흘 만에 극적으로 구조됐던 조은누리양이 구조 활동에 참여했던 산악구조대 측에 후원금을 전달했다. 구조에 도움을 준 구조대원들의 은혜를 잊지 않고 작은 정성으로 보답한 것이다. 지난 29일 충북 산악구조대 측은 조은누리양의 이름으로 구조대에…강원도 주민들이 “군인 휴대전화 사용시간 줄여달라”고 호소한 이유
강원도의 군부대 인근 지역 주민들이 "군 장병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대폭 줄여달라"고 요구했다. 그 이유는 바로 '지역 상권 붕괴' 때문이었다. 강원도민일보에 따르면, 지난 28일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평화지역 외식, 숙박업 등 대표자와 간담회를 가졌다.…“인천 함박도에서 북한 군사시설이 발견됐다” (영상)
인천 강화군에 속한 무인도인 '함박도'에서 북한의 군사시설로 추정되는 건물과 인공기가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30일 TV조선 '탐사보도 세븐'은 함박도 촬영 영상을 단독 공개했다. 매체가 공개한 영상에는 함박도에 세워진 정체를 알 수…“여보 우리 셋째 가질까?”라는 아내의 문자 받은 남편이 ‘다급하게’ 보낸 답장
"셋째를 가지자"라는 아내의 문자에 남편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지난 8월 20일 방송된 TV조선 '아내의 맛'에서는 장영란이 남편에게 장난 문자를 보내는 장면이 전파를 탔다. 이날 문정원과 장영란은 최근 둘째 딸 유담이를 출산한 이하정의 집을…3년 동안 꿀 훔쳐먹으며 ‘민폐’만 끼치다 뜻밖의 ‘재능기부’ 하게 된 곰 가족 (영상)
꿀을 훔쳐 먹으며 민폐만 끼치던 곰 가족이 의도치 않게 좋은 일을 하게 됐다. 꿀단지를 늘 끼고 다니는 곰돌이 푸는 우리에게 익숙한 캐릭터다. 그런데 정말 곰은 꿀을 좋아할까? 정답은 너무나 '그렇다'이다. 터키에서 양봉을…좌파 집권 아르헨티나 ‘디폴트’ 위험, 연쇄 금융위기 우려…중국도 170억 달러 차관
아르헨티나는 지난해 국제통화기금(IMF)과 총 560억 달러(약 68조 원) 규모의 구제금융에 합의한지 1년도 채 안 돼 국가 부도 위기에 직면해 있다. 아르헨티나가 IMF 사상 최대 규모의 구제금융 역시 모두 잃을 처지에 이르자 중국…“괜히 폰 보는 사람 손” 한국인이 정류장에서 버스기사님 배려하는 방법
정류장이다. 저 멀리서 버스가 이곳을 향해 달려온다. 버스 번호판을 확인하니 타야 하는 버스는 아니다. 이런 상황, 한국인이라면 공통으로 취하는 배려 방식이 있다. 최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한국인들이 상냥하다는 근거', '버스정류장에서 공감'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