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0세 이상 고령자 취업자 수가 사상 최다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63년 이후 처음으로 40만 명을 넘어섰고, 60세 이상이 창업한 기업도 가장 많았다.
17일 통계청과 중소벤처기업부, 행정안전부와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60세 이상 취업자는 전년 대비 45만2천 명 증가한 585만8천 명으로 사상 최다였다.
이는 결혼과 출산이 급감하면서 출생아가 줄어드는 반면, 베이비붐(1955∼1963년생) 세대는 은퇴 인구에 진입하면서 한국 사회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 5125만9천 명 중 60세 이상은 1315만4천 명으로 전체의 25.7%를 차지했다. 60세 이상 비중이 25%를 돌파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인구 4명 중 1명이 60세 이상인 셈이다.
60세 이상 취업자 수의 증가 속도 역시 눈에 띄게 빨라지고 있다. 1987년 처음으로100만 명을 넘은 이후 2001년 200만 명, 2012년 300만 명을 넘어섰으며 2016년 400만 명, 2019년 500만 명을 돌파했다.
처음 100만 명을 넘어선 이후 100만 명씩 늘어나는 기간이 초기에는 14년, 11년 걸렸지만 이후 5년, 3년으로 크게 단축됐다.
이러한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613만4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만7천 명 증가했다. 월별 통계를 시작한 1892년 7월 이후 최대 기록이다.
다만, 고령자 취업자 수 증가는 경기 호조에 따른 민간기업 고용 확대보다는 정부의 공공 일자리 공급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공공 일자리는 지난 정부 말기인 2021년 기준 283만 9천 개로 일자리 10개 중 1개를 차지했다.
저소득층과 고령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으로 기획된 공공 일자리는 2016년 통계 시작 당시 236만5천 개였으며 5년 사이 50만 개 늘어났다.
현 정부 들어서 공공부문 효율화를 추진 중이지만, 경기 후퇴로 인한 고용 한파 속에 세금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공공 일자리를 줄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고령자 고용법’에서는 고령자는 55세 이상, 정년은 60세 이상으로 명시하고 있다. 다만, ‘노인복지법’상 노인의 연령 기준은 65세다. 지난해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 비율은 17.5%로 900만 명을 넘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