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 신용등급 강등, 예상된 조치…시장 영향 제한적”

기재부 “단기 변동성은 확대 가능”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데 대해 정부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9일 윤인대 차관보 주재로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과 함께 관계기관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컨퍼런스콜 형식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무디스의 이번 조치를 “이미 다른 신용평가사들이 선제적으로 반영한 내용을 뒤따라 조정한 것”으로 평가했다. 앞서 스탠더드앤푸어스(S&P)는 2011년, 피치(Fitch)는 2023년에 각각 미국의 신용등급을 하향한 바 있다.
또 무디스가 오랫동안 미국에 대해 ‘부정적’ 등급 전망을 유지해 온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조치는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예견됐던 사안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단기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정부는 “이번 강등이 미중 무역 갈등과 미국 경제의 구조적 불확실성 등과 맞물려 금융·외환시장의 단기적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며, 향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F4(기재부·한은·금융위·금감원) 간 공조체계를 더욱 강화해 국내외 금융 및 외환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 16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최고등급인 ‘Aaa’에서 한 단계 낮은 ‘Aa1’로 하향 조정하고,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했다. 무디스는 “미국의 정부 부채 비율과 이자 상환 부담이 지난 10년간 유사 등급 국가들보다 급격히 증가했다”며 등급 강등의 배경을 설명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