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5일 오전 8:00
왜 청년들은 무너지고 있는가 – 선악이 뒤집힌 ‘이상한 나라’의 진실 | 김규나 작가 2편
*2025. 10. 23. 촬영
뉴스보다 소설이 더 정확히 현실을 비춘다—김규나 작가와 함께
‘생각의 자유’와 책임, 그리고 문학의 역할을 묻습니다.
“소설은 거짓을 꾸미는 기술이 아니라, 진실을 말하기 위해 허구를 빌린다.”
“침묵보다 더 위험한 건 권력에 편승하는 일이다.”
“깨어나라, 개인이여. 일어나라, 자유 대한민국이여.”
오웰의 〈1984〉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로 본 한국 사회의 부조리.
청년 윤리와 ‘합리화’의 유혹—〈죄와 벌〉 라스콜니코프의 경고.
폭력에 공감하게 만드는 대중문화의 함정, 뒤집히는 선/악의 기준.
자유를 위협하는 것: 부패한 권력·법치의 남용, 그리고 우리의 무관심.
작가의 사명: ‘왜?’라는 끈질긴 질문—평범한 아멜리아가 여는 정의.
카뮈 〈페스트〉처럼, 각자의 자리에서 책임으로 희망을 세우기.
이어지는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출연자에 대한 비방성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은 출연자의 견해를 나타내며 에포크타임스의 편집 방향성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에포크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