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크타임스

전국 버스노조 “28일 총파업 예고”…시외·고속·마을버스도 참여

2025년 05월 08일 오후 3:05

버스 노사의 통상임금을 둘러싼 갈등이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서울·부산·인천·경기 등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 산하 22개 지역 버스 노조가 단체교섭이 결렬될 경우 오는 5월 28일 전국 동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 산하 자동차노련은 8일 서울 양재동에서 전국 대표자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충북·울산·경남 등 전국 주요 버스노조 위원장과 실무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서종수 자동차노련 위원장은 회의 직후 “연맹 산하 노조들은 12일 일제히 조정 신청에 들어가고, 15일간 교섭 기간 동안 성실히 협상에 임할 것”이라며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28일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파업 대상은 시내버스뿐 아니라 시외버스, 고속버스, 마을버스를 포함한 약 4만여 대로, 파업이 현실화되면 전국 대중교통에 심각한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이번 파업 예고는 기존에 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서울·부산·인천뿐 아니라 모든 시도를 아우른다는 점에서 전국적인 혼란이 우려된다.

서울은 이미 지난달 말 통상임금 문제로 노사 간 교섭이 결렬된 상태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달 30일에 이어 이달 7일에도 ‘준법투쟁’에 나섰으며, 27일까지 안전운행 형태의 준법투쟁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이태주 자동차노련 정책실장은 “서울은 이미 파업 절차를 마쳤기 때문에 별도 조정 신청 없이 집중교섭을 서울시와 사측에 제안한 상태”라며 “노조가 통상임금 시급화를 요구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통상임금은 결국 사법 판단을 통해 정리돼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다만 지역별 협상 상황은 차이를 보인다. 이 실장은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현재 안전운행 계획은 없으며, 향후 공동 대응 방식은 추가 논의를 통해 조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버스노조의 총파업 예고에 따라 정부와 각 지자체는 향후 협상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노조 측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며 열린 자세로 교섭에 임하겠다고 밝혔지만, 전국적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심각한 교통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